-
-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 EBS <인문학 특강> 최진석 교수의 노자 강의
최진석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3월
평점 :

이 책은 본질론적 공자와 관계론적 노자를 대비하고, 불교와 도교, 주역을 비교하며 노자의 사상을 설명하고 있다.
조직이라는 사람들의 모임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집단에서는 현상의 본질을 정의하고 그것을 중심 사상으로 하여 한 몸처럼 움직이는 일사불난함이 미덕이 된다. 신탁을 받은 왕에서 인간이 왕이 된 조선 시대의 중심 사상이 유교이다. 예라는 형식적 외연적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성숙한 인간이 되어 간다는 사상을 공자의 사상으로 이야기한다. 이에 비해 노자는 규정을 하면 오히려 대상을 다 이야기할 수 없고, 규정된 형식이 아니라 일어난 현상을 잘 살펴 이에 대응하는, 자율적 움직임을 중심에 놓고 있다.
이러한 설명을 듣다보니, 공자의 사상은 기업 활동에, 노자의 사상은 대인관계에 연관지어 생각하게 됐다. 일사불난함을 통해 높은 생산성을 이루어 내고, 중앙집권적 조직의 운영에 가장 잘 맞는 것이 공자의 사상으로 생각됐다. 개인의 자유분방한 활동과 생각을 권장하여야 조직이 강해진다는 노자의 사상은 현대의 인문학에 기반한 창의적 생각을 대변하는 사상으로 보인다.
조직이란 하나의 목적 하에 여러 사람들이 협업하여 달성해 나가는 속성을 지닌다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공자의 사상은 이러한 조직을 이끌어가고, 조직에 소속된 사람들이 어떤 태도를 유지해야 하는 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는 잠에서 깨어 일상으로 들어가면 사람들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사람을 특정한 틀로 규정하고 변치 않는다고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여러 가지 태도들을 보이고 이것이 사람들 사이의 관계로 연결이 되면서 개개인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자의 사상에서 이야기하듯, 벌어지는 현상을 주의 깊게 바라보고 그에 맞게 행동을 하거나 태도를 취할 수 밖에 없다. 이럴 때는 노자의 사상이 도움이 될 것같고, 백과사전에서 정리해 놓았듯, 처세술로 보일 수도 있는 측면을 갖는다 생각든다.
우리는 기원전으로 분류되는 시간에서 발현된 사상에 왜 주목하는가? 이 책을 읽으면서 공자든 노자든 불교든 도교든 그 사상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어떤 자격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새해 벽두 혹은 한 해를 정리하며 세운 계획이 작심삼일에 끝나는 것도 이러한 자기 제어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사상에 마음을 주고 그 사상을 생활 속에 반영하려는 것은 그 자기 제어가 철저하지 않으면 반영이 어렵겠다란 생각이 들었다. 다만 모든 사상과 철학이 하나의 생각만으로 모든 것을 다 설명할 수 있거나 대응할 수 없다는 저자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그러니 공자의 사상에서 일부 노자의 사상에서 일부를 나에 맞게 도입해 변경하여 사용하고 효과성 혹은 가치 생산성에 따라 취사선택을 하고 남겨둘 지 버릴 지를 반복해서 실행하는 것이 우리의 생활이 아닐까 한다.
노자의 사상은 필자와 같이 창의적 생각들 혹은 새로운 접근법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참고할 부분이 많다. 사실 벤치마킹만큼 시간 낭비적 접근 방법도 없다. 남이 성공한 방법을 살펴보고 그것을 도입하는 태도는 과거를 가지고 미래를 만들려는 어리석은 행위라 생각이 든다. 하지만 벤치마킹을 하나의 간접 경험 혹은 지식으로 받아 들이고, 현재 벌어지는 현상들에 대응하는데 기반적 지식으로 활용한다면 남이 거친 실수의 고랑에 발이 빠지는 일은 없을 것이다. 그리고 현상을 바로 보는 시각을 성장시키고 변화를 제대로 관찰해 최상의 해답을 찾아내는 움직임이 이 책에서 설명한 노자의 접근법이라 이해했다.
우리는 모든 사람들이 평등한 사회에서 집권층의 탄생과 더불어 부리는 자와 부려지는 자로 나뉘어 기나긴 시간을 보내왔다. 그 속에는 사람들간의 관계라는, 과거의 평등적 사고방식도 공존하고 있다. 따라서 제자백가의 사상을 넓게 읽어 보고 다양한 시각에서 세상을 바라 본 사상들을 참고하여 오늘날 최선의 해답이 될 것을 끊임없는 생각을 통해 내놓는 것이 이 책이 이야기하는 노자의 인문학이라 이해된다.

편집적 창의로 하루를 살아가는 것은 너무도 불안하다. 그러나 그것보다 더 피하고 싶은 것은 벌어지지 않은, 지금은 확신할 수 없는 미래를 많은 사람들이 따르고 존경하는 과거의 인문적 사상들, 철학적 생각들을 기준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노자의 사상은 당시의 오늘이란 환경 속에서 피어난 것이다. 21세기 우리들이 고민하던 것을 삼국시대 신라 백제 고구려의 사람들도 유사한 이슈로 고민했을 것이다. 과학으로 우리의 앎이 더 넓어지고 현상이 증명되어 간다는 것 외에는 사람이 살아가는 길은 유사할 것이다. 따라서 몇 천년 전 몇 백년 전의 사상이 오늘날 주목을 받는 것이 아닐까? 하지만 그 당시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은 오늘과 달라 어쩌면 교양으로 국한하여 알고 가야 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사람이 살아가는 것이 비슷하나 내가 살아가는 길은 우리는 잘 알지 못하고 잘 파악하지 못한다. 어느 날은 공자의 사상이 잘 맞을 때가 있고 어느 날은 노자의 생각이 적중하는 날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시각들을 미리 읽고 생각해 보는 것이 이 책이 의도한 바가 아닌가 감히 생각해 본다.
당신은 보편적 이념의 수행자입니까, 자기 꿈의 실현자입니까? 당신은 바람직함을 수행하며 삽니까, 바라는 걸 실행하며 삽니까? 당신은 원 오브 뎀 one of them 입니까, 유일한 자기입니까?(306)
왜 집착을 할까요? 그 대상을 더 좋은 것 또는 `진짜`라고 가치 판단을 하기 때문입니다.(137)
떠난 버스가 자신이 탈 버스라고 생각하는 것이 바로 상을 짓는 행위입니다. 버스는 그냥 자신의 시간표에 따라 움직일 뿐인데 말이죠. 상을 짓는 행위, 어떤 것을 `자기 뜻대로` 정해버리는 행위가 불교에서 말하는 `소유` 입니다. (중략) 무소유라는 말은 재산을 많이 갖지 말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자기 마음대로 어떤 형상을 지어서 그것을 진짜로 정해버리는 행위를 하지 말라는 뜻이에요.(138~1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