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어 (무삭제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23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10월
평점 :
정직으로 원한을 갚고, 덕으로 덕을 갚아야 한다.
남이 나를 알아주지 못함을 걱정하지 말고, 자신의 능하지 못함을 걱정해야 한다.
인자(仁者)는 걱정하지 않고, 지자(智者)는 미혹되지 않으며, 용자(勇者)는 두려워하지 않는다.
말해야 할 때 말을 하므로 사람들이 그의 말을 싫어하지 않고, 즐거울 때 비로소 웃으므로 사람들이 그의 웃음을 싫어하지 않으며, 이익이 예(禮)에 부합해야 비로소 취하므로
사랑하는데, 그를 위해 수고로움이 없을 수 있겠는가? 충심으로써 대하는데 그를 위해 충고를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나라에 도가 있을 때에는 바른 말과 바른 행위를 해야 하고, 나라에 도가 없을 때에는 바른 행동을 하되 말은 공손해야 한다.
벗 사이에는 서로 성실하게 권면하며
빨리하려고 하면 오히려 이루지 못하고, 조그만 이익을 구하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
가까이 있는 자들이 기뻐하며, 먼 곳에 있는 자들이 오게 하여야 합니다.
1년이 지나게 되면 그 모양이 드러날 것이고, 3년이 지나면 반드시 성과가 있을 것이다.
자기 자신이 올바르면 명령하지 않아도 행해지고, 자신이 바르지 못하면 비록 명령한다 하더라도 따르지 않는다.
'정(政)'의 의미는 "가르쳐도 고치지 않고, 사악하면서도 바르지 못한 것에 대해 약간의 '타격'을 가함으로써 올바르게 한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공손하되 예의(禮義)가 없으면 헛수고일 뿐이고, 신중하되 예의가 없으면 유약하며, 용기가 있으되 예의가 없으면 어지럽고, 솔직하되 예의가 없으면 각박하고 남을 해치게 된다.
나는 그의 발전을 긍정적으로 본 것이지, 그의 퇴보를 긍정적으로 본 것이 아니다. 구태여 지나치게 대할 필요가 있겠는가? 자기의 지난 과오를 바꿔 발전한다는데, 나는 그러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여긴다. 과거의 잘못을 끝까지 움켜쥐어서는 안 된다.
없었으면서도 있는 척 꾸미고, 비었으면서 가득한 척 꾸미며, 가난하면서도 부유한 척 꾸미니, 이런 사람들이 항심(恒心)을 가지기는 어렵다.
세 사람이 길을 가면 그중에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으니, 그중에 선(善) 한 것을 찾아서 따르고, 선하지 못한 것을 보면 거울로 삼아 내 잘못을 고쳐야 한다.
내가 필요한 자는 반드시 일에 임하여 신중하고, 계책이 있어 임무를 완성하는 사람이다.
아직 마음에 정리가 되지 않았을 때 먼저 이끌어줄 필요가 없고, 말하려 하지만 말로 표현하지 못할 때 먼저 계도할 필요가 없다. 한 쪽을 예로 들었는데, 이로써 나머지 세 쪽을 미루어 알지 못한다면 곧 다시 돌아와 원래의 길을 가야 한다.
유(游)는 놀다의 뜻이 아니라 "완전히 장악하여 마치 물고기가 물에서 자유자재로 노니는 것처럼 하다"의 의미다.
인자는 자기가 서고자 하여 다른 사람들을 도와 함께 일어서는 사람이다. 또 자기 일을 잘 하고자 하여 다른 사람들을 도와 함께 잘 하게 하는 사람이다.
한 사람이 살아가는 것은 정직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인데, 정직하지 않으면서도 살아가는 것은 요행으로 재앙을 벗어난 것이다.
사람들에게 단지 말로만 대하여 자주 미움을 받게 되는 것이다.
여러 벗을 사귀게 되면 곧 소원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