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보시선 - 역사가 남긴 향기
두보 지음, 이원섭 옮김 / 현암사 / 2003년 3월
평점 :
○ 팽아행(彭衙行)
그리고는 자기의 방을 비워서
우리를 편히 쉬게 하였네.
그 누구 이리도 어려운 때에
진심을 활짝 열어 보여 줄 건가.
○ 검문(劍門)
삼황(三皇) 오제(五帝) 그 당시 태고 적에는
닭 · 개도 놓아서 길렀었건만
후왕(後王)은 이곳마저 회유하여서
직공(職貢)의 그 제도 무너지도다.
○ 성에 올라
파서(巴西)에 가득한 것
새 풀빛인데
텅 빈 성안에는
해도 길어라
○ 추흥 3
광형(匡衡)같이 항소(抗疏)하다
공명을 잃고
유향(劉向)처럼 경(經)을 전하려는
그 뜻도 어긋난 몸!
○ 추흥 5
창강(滄江)에 누워, 저무는 세월에
새삼 놀라는데
청쇄문(靑瑣門) 들어가
그 몇 번 조반(朝班)에 끼었던 나인가?
○ 추홍 6
구당협(瞿唐峽) 이 길목과
곡강(曲江)의 기슭
가을 기운 만리를
이은 오늘은,
(후략)
○ 추홍 8
천지도 감동시킨
옛날의 내 글
지금은 서울 쪽 바라보며
흰 머리 숙이다니!
○ 비가 2
가래야, 가래야.
흰 나무로 자루하고
네게 의지해
목숨을 이어 간다.
둥글레 싹 안 보이고
눈만 깊은데
짧은 옷은 아무리 끌어도
정강이를 못 가린다.
○ 비가 7
사나이로 태어나
공명은 못 이룬 채 몸만 늙어서
3년이나 굶주려
산골을 헤매다니.......
서울의 재상들은
대개가 젊은이들
부귀는 일찍이
잡아야 하는 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