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보시선 - 역사가 남긴 향기
두보 지음, 이원섭 옮김 / 현암사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하장군의 산장 9


섬돌 앞엔 구름을

쓰는 나무들


○ 선주의 묘에 배알하고


외진 여기 난을 피해 돌아갈 배는 멀고

황폐한 성 말을 매어 자주 찾으니

어찌 차마 보리오, 낙엽 지는 양!


○ 승상을 생각하며


섬돌에 비친 풀은

스스로 봄빛인데


○ 술회


한 통의 편지를 적어 보낸 지

어느덧 흘러간 열 달의 나날.

소식 올까 도리어 꺼려도 져서

내 마음은 갈기갈기 찢어만 져라.


○ 봉선현을 찾아가면서


동창(同窓)의 늙은이들 비웃기로니

격렬만 해 가는 나의 노래여!


(...)


딱하기는 땅강아지 개미의 무리

자기 살 구멍이나 찾으면 될 걸

어찌해 크나큰 고래의 흉내

바다에는 누우려 드는 것인가?

이로써 처세술을 깨달았어도

부끄럽긴 권문(權門)에 드나드는 일.


(...)


대가에선 술과 고기 썩어가건만

길에는 얼어 죽은 시체 있어서

지척을 두고 영고(榮枯) 판이하니

이 슬픔을 다시 무어라 하랴.


○ 북정


국화는 올가을의 꽃임이 분명한데

돌길에는 옛 수레바퀴 자국 완연하다.


(...)


생각은 멀리 도원(桃園)으로 이어져

더욱 처세의 졸렬함에 한숨 짓기도.


(...)


거기다가 침상 앞 어린 두 딸은

입성이란 게 깁고 이어서 겨우 무릎 가렸는데,

바다의 그림에서 파도 둘로 찢기고

낡은 수(繡)는 자리 옮겨 굽혀져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