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연의 오늘의 수학
이광연 지음 / 동아시아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수학은 어렵다. 학창시절 전반적으로 성적이 좋지 않았지만, 하향 평준화의 맨 앞에 위치한 과목은 항상 수학이었다.  중학교 1학년 시절 딱 한번 수학선생님의 영향으로 수학을 좋아할 뻔 했지만, 그것도 잠시 뿐이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년이 놓아짐에 따라 수학책과 나와의 거리는 점점 멀어져 갔다.  정석으로 대표되는 수학 책. 각 종류별로 참 많이도 구입을 했지만 시간이 지나고 나면 책은 항상 일정 부분까지만 손때가 묻어있었다.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자연스럽게 문과를 택하게 되었고, 대학 또한 수학을 하지 않는 전공을 선택했지만 실패였다. 수학을 하지 않는 과목은 존재하지 않았다. 어린시절 나는 왜 경영학에서는 수학을 공부하지 않는다는 생각을 했는지 모르겠다. 대학에 들어온 이후 나의 좌절감은 더욱 깊어만 갔다.  그 덕에 나는 지금도 전공과는 전혀 상관없는 길을 걷고 있지만, 지금 내가 걷고 있는 길 또한 수학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정말 미치고 싶다는 생각 뿐이다. 그래도, 나는 지금까지 수학을 등진채 아주 씩씩하게 버티고 있다. 사실은 씩씩한게 아니라 무식하고 미련스러운 짓이다.

 

수학은 왜 어려울까? 일단 복잡하기 때문이다. 수학을 잘 하는 사람들은 (논리적인 사람들) 어려운 문제를 풀어냈을 때의 성취감을 즐긴다고 한다. 또한 답이 정해져 있는 학문이기 때문에 수학만큼 쉬운 분야도 없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것은 수학을 잘하는 사람들의 말이다. 이 책의 저자인 이광연 또한 어려서부터 수학을 좋아하고 잘했다고 한다. 물론 내 주위에도 그런 사람들이 꽤 있다. 사십,오십이 된 나이에도 고등학교 수학문제를 척척 풀어내는 사람들을 보면 존경스럽기까지 하다. 수학이 물론 어렵기는 하지만, 어렵다는 선입관이 더 큰 것 같다.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수학이라는 학문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진입장벽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그런 사람들을 위해 수학을 좀더 알기 쉽고, 접근하기 쉽게 하기 위해 쓰여진 책이다. 네이버캐스트 최고의 조회수를 자랑하는 분야로써, 그 중에서도 최고의 조회수를 기록한 꼭지만을 모아놓은 책인만큼 내용을 살펴보면 우리 주위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것들을 소재로 삼고 있다.

 

영화의 단골 메뉴인 공룡의 주력을 얼마일까? 라는 문제또한 수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여러가지 공식으로 유추해 낸 공룡의 속도는 시속 20km가 되지 않는다. 영화에 나오는 공룡의 속도는 극중 재미를 위해 부풀여 놓았다고 한다. 우연히 공룡을 마주쳤다면 꾸준히 시속 20km이상으로 도망가면 된다고, 저자는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거의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 감이다.  지뢰찾기의 원리와 사다리타기의 원리 또한 수학과 깊은 관련이 있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공의 한 꼭지로 유명한 뫼비우스의 띠에 얽힌 수학적 이야기.3월 14일은 화이트데이가 아닌 '파이데이'라는 수학자 다운 견해까지 밝히고 있다. 이렇게 친근한 소재를 택해서 수학에 접근하는 방법은 아주 적절했지만, 한발 짝 더 다가가서 바라본 수학적 원리는 역시나 버거웠다. 근의공식,인수분해 조차도 기억하지 못하는 나에게 끊임없이 이어지는 증명과 공식들의 나열은 여지없이 나를 좌절하게 만들었다. 중간중간 '박사가 사랑한 수식'에서 언급되었던 무리수,소수등에 관한 이야기들은 조금이나마 아는 이야기라서 솔깃해서 읽을 수 있었던 것이 그나마 다행이었다.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들. 수학에 어느정도 자신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너무도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임에는 틀림없다. 그리고, 지금 열심히 수학에 입문해 있는 사람들에게도 교과서에만 매몰될것이 아니라, 이와 같은 책을 통해 수학을 접한다면 분명히 나와 같이 수학 공포증에 걸리지는 않을걸로 장담한다.  분명히 이러한 책들은 많이 만들어지고 많이 읽혀야 한다. 단, 나에만은 조금 버거웠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