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의 두뇌를 깨우는 마법놀이 - 아이와 엄마가 함께하는 0~3세 두뇌 트레이닝
가토 토시노리 외 지음, 이민영 옮김 / 비타북스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제목이 정말 자극적이다. 아이를 키우는 사람에게 아이가 잘 되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는 데 마다할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더군다나 두뇌를 깨워준다고 하니 건강하고 , 똑똑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부모 입장에서는 귀가 솔깃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책을 처음 대했을 때의 나의 속마음이 그랬다. 놀이를 통해 아이의 두뇌를 자극하는 좋은 방법을 찾기를 바란것이다. 하지만, 이 책 어디에도 마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어쩌면, 이 책 뿐만이 아니라 모든 육아서적에 마법이라는 것은 없을지도 모른다. 그저, 얄팍한 상술에 당했구나 라는 생각을 할 뿐이다.

 

아이들의 뇌를 전공한 소아과 전문의를 비롯한 네명의 전문가가 공동으로 쓴 이 책은  아이의 두뇌는 3세 이전에 결정된다고 말하고 있다. 물론 다른 책에서도 아이의 두뇌는 마치 스폰지와 같기 때문에 모든 것을 무한대로 흡수할 수 있는 시기라고 말하고 있다. 그만큼, 유아기가 중요하다는 말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걸 조기교육이라는 말과 혼동해서는 안된다. 어린 나이에 방대한 양의 정보를 주입하다 보면 자칫 혼란만 가중시킬 우려가 있을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아이의 두뇌 훈련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는데, 솔직히 말해서 무슨 말인지 전혀 이해 할 수가 없었다. 대다수의 내용은 기존의 다른 책과 다를 것이 전혀 없는 평이한 내용의 반복이었고, 그 내용들조차 모호하기 짝이 없었다.  연령별 , 시기별에 걸 맞는 적합한 놀이와 구체적인 자극 방법. 그 놀이가 아이의 두뇌 및 성장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이 그 저 '이런 놀이가 좋다'라는 식의 모호한 내용만 반복할 뿐이다. 그런 반복속에서 나는 서서히 싫증을 느끼기 시작했고, 더 이상 나에게는 유익한 정보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을 내리게 되었다. 부모조차도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데, 그 내용을 아이에게 어떻게 접목할 지 한심스러웠기 때문이다.

 

육아서는 많다. 모든 육아서의 공통적인 주장은 사랑이라고 얘기한다. 엄마 혹은 아빠의 사랑. 진실된 마음. 이것이 가장 훌륭한 교육이라고 말하고 있다. 나 또한 아이를 키우면서 무척이나 공감하고 있는 내용이지만, 그것이 항상 뜻대로만은 되지 않는다. 물론 사랑이 모자라서 그렇다는 말이 아니다. 육아라는 것인 생각처럼, 책에 있는 내용처럼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항상 돌발적인 상황이 발생하고 어떨때에는 인내심에 한계를 느끼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럴 때 마다 부모가 사랑이 부족해서 라고 말한다면 이 세상에는 단연코 훌륭한 부모는 찾아보기 힘들것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평의한 육아서가 아닌 조금은 혁신적인 내용이기를 바랬는데, 그렇지 못한대서 오는 실망감이 무척컸다. 하지만, 이 책에서 배운 가장 큰 교훈은 있었다. 바로, 모든 놀이와 교육은 시작 과 시기는 '하고 싶을 때'라는 것이다. 처음에는 이 말이 참 모호하게 들렸는데, 자꾸 반복해서 읽다 보니 그런것 같기도 하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밥을 언제 먹어야 라는 질문에는 '배가 고플 때'라는 말이 가장 정답인것처럼 말이다.(과연 그럴까?) 또한, 중간 중간에 나오는 간접광고도 그다지 좋게만 보이지는 않았다. 아무리 협찬이 있다고는 하지만, 육아서에서 내용과 별 상관도 없는 부분에 상품 광고가 나오다 보니 소비자에게 판단의 기회를 흐리게 만드는 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