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 지음, 김재혁 옮김 / 이레 / 2004년 11월
평점 :
절판


원작을 뛰어 넘는 영화는 없다고 한다. 나도 그 법칙에는 꽤나 동감하는 편이다. 그래서, 원작을 봤을 경우에는 영화를 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원작에 대한 비교로 인해 영화에 집중하기 힘들어지고, 심지어는 원작에 대한 모독을 느끼는 경우까지 있기 때문이다. '책 읽어주는 남자'는 원작에 앞서 영화를 보았다. 좀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영화를 소개하는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통해 맛보기만 했을 뿐이다. 하지만, 그 맛보기가 꽤나 강렬했었다. 배우들이 특별히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짧은 시간 화면에 나타난 영화의 줄거리는 꽤나 충격적이었다. 한없이 로맨틱하게만 느껴지는 '책 읽어주는 남자'라는 제목과 어울리지 않게 그 내용은 처절하기까지 하다.

 

열다섯 소년 미하엘에게 첫 사랑이 찾아온다. 간염으로 길거리에서 구토를 하던 그에게 구원의 손길을 뻗친 여인 한나. 미하엘은 그녀에게서 사랑을 보았다. 어쩌면 그건 사랑이기보다 욕정이었을지 모른다. 서른여섯의 여인 한나의 육체에 미하엘은 하염없는 동경을 품는다. 엄마와 비슷한 여인에게 느낄수 있는 감정은 분명히 아니었지만, 미하엘은 한없이 그녀에게 빠져든다. 미하엘의 첫사랑이자 첫경험이었다. 우연히 시작된 두 사람의 관계는 일시적 관계가 아닌 지속적인 열정으로 변해간다. 매일 계속되는 만남.그리고 이어지는 사랑행위. 샤워하기, 책읽어주기..... 두 사람의 사랑은 일정한 공식에 의해 반복되어 간다.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책의 제목과도 같은 책읽어주기이다. 책을 읽는 것이 아닌 책을 읽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마 두사람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행위이기도 하다. 미하엘은 한나의 육체에 호기심을 가졌을지도  모른다. 한나 또한 자신보다 한참 어린 미하엘의 육체를 탐닉하기 위해 만남을 지속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두 사람의 연결고리는 육체가 아닌 책이었다. 책은 한나의 존재 이유이기도 하다. 한나가 살아가야 하는 이유이며, 살아있지만 온전히 존재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나는 글을 읽지도 쓰지도 못했기 때문이다. 그 사실을 미하엘은 알지 못했고, 한나는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았다. 하지만, 책을 읽는 우리는 눈치챌수 있었다. 두사람의 이해하기 힘든 관계와 황당한 에피소드에서 한나의 문맹과 두사람의 운명은 이미 정해져 있었다.   어느 순간 한나에게서 한 발짝 떨어져 있는 자신을 발견한 미하엘은 자신의 사랑에 대해 자괴감에 빠지고, 어느날 갑자기 한나는 미하엘에게서 떠나간다. 사라진 한나를 찾아 방황하는 미하엘. 하지만 더이상 미하엘의 첫사랑은 어디에서도 찾을수 없었다. 그렇게 두사람의 사랑과 책읽어주기는 잊혀져 갔다. 오랜 시간과 함께 한나와 미하엘은 자신의 삶속에 빠져들게 된다.

 

법대생이 된 미하엘. 수업을 위해 재판을 참관하게 된 미하엘은 그토록 찾아 헤매던 자신의 첫사랑 한나를 만나게 된다. 나치와 관련된 중대 범죄자로써 피고가 되어있는 한나. 과거 나치시절 수용소에서 감시원으로 있던 한나는 그 시절 행해졌던 일로 인해 재판을 받고 있었다. 재판과정에서 한나는 자신의 죄를 부정하지도 인정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재판관에게 되묻는 한나. '당신 같았으면 어떻게 하셨겠습니까?' 그건 어떠한 변론도,부정도 아닌 진심이었을 것이다. 한나는 전쟁이라는 상황에서 나치를 옹호하고자 했던 것도 아니고,나치에 대항하고자 했던것도 아니다. 단지 자신이 상황 현실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지 몰랐던 것이다. 현실인식에 대한 무지는 커다란 범죄 행위로 이어져 갔다. 폭격속에 포로들을 구하지 않은채 모두 죽음으로 몰아 넣은 죄. 수용소에서 간부의 역할을 했던 죄. 전쟁이 끝난 지금 전쟁에 대한 책임을 누군가가 져야 한다면 한나는 그 책임을 받아들이고자 했던 것이다. 자신이 져지른 잘못의 경중을 떠나 한나는 자신이 알지 못하고 져지른 죄라 할지라도 그 것에 대한 책임을 모두 짊어 지고자 했다. 자신에게 부여된 죄목에 대해 한나는 전혀 부정을 하지 않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어쩌면 한나의 행위가 정상참작 될수 있는 사실은 그녀가 문맹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한나는 끝내 그 사실을 숨기고자 했다. 숨기고자 하는 마음이 클수록 한나의 죄는 무거워졌고, 미하엘은 그 때서야 한나의 문맹을 눈치채게 된다. 그리고, 그녀가 자신을 떠나간 이유도 알게 된다.

 

결국 종신형이 선고된 한나. 평생을 교도소에서 보내야 되는 한나를 두고 미하엘은 그녀를 변론할수도 있었지만 끝내 그녀가 문맹이라는 사실을 알리지 않는다. 한나가 선택한 길을 미하엘은 겸허히 인정하고자 한다. 감옥에 있던 한나에게 미하엘은 다시 예전의 관계를 회복하고자 한다. 사랑하기, 책읽어주기, 목욕하기...... 불행히도 그들이 같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이 때부터 미하엘은 녹음된 카세트 테이프를 보내기 시작한다. 아무런 설명도 없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카세트 테이프. 그 속에서 미하엘은 다시금 한나와의 사랑을 이어가고 있었다. 그 무렵 한나또한 평생 자신을 옭아맨 문맹의 그늘에서 벗어나고 있었다. 책을 읽을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글을 쓸수 있다는 것. 그것은 자신이 미처 알지 못한 새로운 세상과의 만남이었다. 또한, 자신이 걸어온 길을 올바르게 돌이켜 볼 수 있는 자성의 시간이기도 했다. 나치시절 자신이 행했던 일이 과연 어떠한 행위 였는지. 한나는 글이라는 것을 통해 서서히 눈을 뜨게 된 것이다. 18년간의 수감생활동안 한나와 미하엘은 책이라는 것을 통해 소통을 한다. 그건 일방적이지만 상대방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강한 믿음에 의한 소통이었다. 기나긴 소통 속에 한나는 드디어 수감 생활을 마치게 된다. 출감을 앞둔 어느 날 만나게 된 한나와 미하엘. 이제 그들에게 남은 건 지난 세월 이루지 못한 사랑의 결실일까? 그동안 소통해온 책에 대한 예찬일까? 아니면 지나간 시간에 대한 안타까움들일까? 단절된 시간은 두 사람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21년이라는 나이차를 둔 남,녀의 사랑. 그것도 육체적 관계로부터의 시작이라는 주제는 결코 예사롭지 않다. 자칫 막장이라는 말로 폄하되기 쉬운 주제이지만 작가는 결코 독자들의 뻔한 상상을 용납하지 않고있다. 남,녀간의 사랑이라는 주제 속에 육체적 관계는 아주 작은 행위일 뿐이며, 단지 사랑에 관한 이야기만을 하고 있지도 않다. 독일이라는 특수한 현실이 가져다 준 전쟁세대와 전후세대와의 갈등.그 속에서 만난  어울리지 않는, 이루어질수 없는 남,녀를 등장시켜  책임,용서,화해와 같은 거대한 담론을 이야기 하고있는 듯 하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책을 통해 이루고자 했던 두 남녀의 사랑이야기 정도로 생각했던 나에게 작가는 너무도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 주고 있다. 작품이 가져다 주는 비극적인 결론 보다 그 과정에서 펼쳐지는 두 남,녀의 서로 다른 고통이 더 아프게 느껴지는 작품이다. 책을 다 읽고나니 영화 또한 꼭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