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나아줌마가 들려주는 아프리카 옛이야기
씨나 믈로페 지음, 조선정 옮김, 레이첼 그리핀 그림 / 북비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래 동화는 어느 나라나 비슷하다는 생각을 한다. 오랜 시간동안 사람들의 입을 통해 내려온 이야기들은 시간이 흐르며 혹은 많은 사람들을 거치며 자연스럽게 현대에 걸맞게 윤색될수 있다고 본다. 그런 윤색 과정이 있어야 오랜 시간 사람들에게 공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옛 이야기는 그 나라의 독특한 문화 오랜시간 걸쳐 내려온 풍습또한 어느정도는 알고 있어야 이해하기가 쉬울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각기 다른 여덞나라의  옛 이야기를 하기에 앞서 그 나라의 역사적,문화적 특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을 해주고 있다. 그 설명으로 인해 이야기를 읽어가면서 조금은 생소한 상황들을 쉽게 이해하게 해주는 친절함을 보여주고 있다.

 

씨나 아줌마는 아프리카 최고의 스토리텔러 라고 한다. 아프리카 최고의 이야기 꾼. 수많은 부족,언어,문화가 복잡하게 어울려 있는 아프리카의 특성상 그 이야기 또한 무척이나 방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대부분 아프리카의 역사가 식민지에 의한 수탈의 아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기에  그 속에는 아픔과 분노등도 많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보다많은 이들에게 읽히기 위함이 목적인지는 모르겠지만, 각 부족,각 나라의 깊은 한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어쩌면, 언급되고 있지만 내가 잘 이해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표지 와 중간 중간에 삽입된 삽화는 그냥 보기에도 아프리카를 연상케 한다. 강렬한 색채감 과 천을 이용한 퀼트형식의 분위기는  어떠한 설명도 필요없는 아프리카의 대표적 트렌드가 된 듯 하다. 가나,세네갈,수단,에디오피아 와 같이 비교적 우리에게 익숙한 나라의 이야기들과 나미비아,말라위,레소트,스위질란드와 같은 이름조차 생소한 나라의 이야기 총 8편이 실려있다.  권선징악,효행,우정,의리 등과 같이 내용은 우리 나라의 전래동화와 거의 비슷하다. 단지 신화적인 요소가 좀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과 약간의 문화적인 차이만 제외하면 어느 나라의 어린이들이 읽기에도 전혀 이질감을 느낄지 않아도 될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전래동화의 장점은 재미있는 이야기로 인한 풍부한 상상력을 길러준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때로는 전혀 다른 나라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아이들에게 새로운 상상력의 날개를 달아주는 것도 꽤나 괜찮은 시간이 되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