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란
공선옥 지음 / 뿔(웅진)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오랜만에 읽은 공선옥의 작품은 슬픔 그 자체였다. 작품에 나오는 등장인물은 하나같이 슬픔이라는 옷을 입고 있었다. 마치 비에 흠뻑 젖은 모습을 한 사람마냥 그 들에게서는 슬픔이 뚝뚝 떠러지고 있었다. 책 표지에 있는 작가의 사진은 평범한 농촌 여성을 연상케 한다. 실재로 시골 폐교에서 교실을 수선해서 살고 있다는 그의 생활처럼 모습 또한 수수하기 그지 없다. 한송이 꽃을 들고 서있는 단아한 모습과는 다르게 그녀의 글은 슬픔이 묻어있으면서도 강인한 인상을 준다. 예전에 읽었던 그녀의 작품에 대한 기억은 강인함 이었다. 강인한 엄마의 모습. 강인한 여성의 모습. 비록 홀대받는 연약한 군상들의 모습이었지만 그들에게는 강인함이 느껴졌었다. 이 작품에 등장한 인물들도 하나같이 슬픔에 빠져있지만, 결코 좌절하지 않는다. 그게 공선옥의 힘인것 같다.

 

한 여인이 있다. 그녀의 이름은 영란. 아니다. 사실 영란은 그녀가 삶의 마지막을 장식하고자 했던 목표에 있던 여관의 이름이다. 정신장애를 앓고 있던 어린 아들이 가족끼리 같이한 나들이에서 물어 빠져 죽는 사고는 당한다. 그 후 충격을 받은 남편또한 폐인과 같은 삶을 살다 교통사고로 죽음을 당한다. 졸지에 혼자 남겨진 것이다. 그 후 그녀는 빵과 막걸리만으로 삶을 영위하게 된다. 삶에 대한 마지막 끈마저 놓아버린 그녀에게 남은 것은 비루한 육신밖에는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남편이 유일하게 남긴 유산인 미지급 인세 때문에 남편의 선배였던 정섭과 만나게 된다. 

 

한 남자가 있다. 그의 이름은 정섭. 작가라는 직업을 가지고 있지만 변변한 작품 한 편 쓰지 못한 삼류 작가에 불과하다. 모범적인 가정을 꾸리고 있었지만, 또 다른 여인과의 불륜으로 인해 가족을 잃어 버린다. 딸과 부인은 독일로 떠나버리고 그는 평생 그 들의 생활비를 대야만 하는 기러기 아빠라는 종신형을 선도 받는다. 그 또한 슬픔으로 가득 찬 인생을 살고 있다.  전직 대통령의 장례식이 있던 어느 날 그는 낯선 여인에게 전화를 받는다. 오래전 후배 출판사에서 발간한 자신의 책에 대한 인세를 못 주겠다는 내용 이었다. 그 녀와의 우연한 만남은 슬픔과 슬픔의 만남이었다. 슬픔을 간직한 사람끼리는 서로 통하는 것이 있는 모양이다. 두 사람은 기이한 인연으로 인해 또다른 후배의 장례식에 참석하고자 목포로 떠나게 된다. 목포는 항구다. 하지만, 목포는 커다란 슬픔을 간직한 도시이기도 하다. 

 

이 작품은 여자 와 남자의 이야기가 번갈아 가면서 진행된다. 화자가 두명이다. 두 사람의 화자를 내 세운건 그 들의 아픔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교대로 진행되는 이야기에 따라 두 사람의 운명또한 번번히 빗겨 갈 뿐이다. 한 곳에 있지만 결코 만날 수 없는 두 사람의 운명처럼 책 한권에 등장하지만  두 사람은 동시에 등장하지 않는다. 장례식 이후 헤어진 두 사람은 결코 만나지 않는다. 책을 쓰기 위해 다시 목포를 찾은 정섭과 삶을 마감하기 위해 목포를 찾은 영란은 목포라는 도시에서 같이 숨쉬며 살아가지만 결코 재회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서로를 갈구 하는 것. 목포는 두 사람을 연결하는 유일한 끈이기도 하지만, 두 사람을 엇갈리게 하는 회전문과도 같다. 새로운 사랑을 찾는것이 지나간 사랑에 대한 배신이라고 생각하는 그들. 그러기에 자신의 슬픔과 상처를 치유하기 보다는 그대로 방치하고자 하는 사람들. 자신을 더욱 고통스럽게 함으로써 지나간 사랑에 대해 용서를 구하고자 하는 사람들. 하지만 그들은 서로에 대한 막연한 그리움이 사랑이라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사랑을 확인하기 위해 다시 목포를 찾은 정섭은 드디어 영란과의 재회를 하게된다. 하지만 책은 여기에서 끝을 맺는다. 두 사람이 진짜 재회를 했는지, 그 이후 새로운 삶을 시작했는지에 대한 언급은 없다. 사실 이 책이 사랑타령을 주제로 하는 작품도 아니기에 그것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아마도, 두 사람은 서로의 상처를 보듬어 주기만 할 뿐 새로운 사랑을 다시 시작하지 못할수도 있다.

 

자신의 슬픔을 방치하지 말고, 돌보기를 바란다는 작가의 말처럼, 저마다의 상처를 지니고 살아가는 우리들은 자신에게 좀더 관대해질 필요가 있다. 이 책을 읽고 나니 새삼스럽게 목포의 눈물이라는 노래가 듣고 싶어진다. 또한 목포의 걸죽한 사투리또한 그리워 진다. 책에서 처럼 목포의 사투리는 더이상 조폭의 전유물이 아니다. 희화화 되버린 그 들의 말이 참으로 정겹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