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망, 그 아름다운 힘
최민식.하성란 지음 / 샘터사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나는 내게서 사진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 늘상 하는 말이 있다. 진정한 사진은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것에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영위하는 삶의 진실을 파헤치는 것이라고 말이다. 그러기 위해선 치열한 고민과 사색, 그리고 체험이 수반되어야 한다. 하지만 요즘의 젊은 친구들은 정신적 수련을 싫어하고 미를 뽐내는 기교에만 관심이 있는 것 같다. 체험에서 우러나오는 각성이 없는 예술은 공허한 놀음에 불과하다. 진실한 사진이 갖는 감동은 모두, 현실의 행간에서 우러나오는 것이다.  내가 의도적으로 연출하지 않은, 생생한 인간의 모습을 렌즈에 담고자 한 것은 그 현실 자체속에 이미 예술이 추구하는 진실이 담겨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 최민식 ]

 





나는 사진을 잘 찍지 못한다.  예전부터 사진을 찍는다는 것에 대단한 취미가 있었던 것도 아니다. 요즘 들어 아이가 생기면서 아이의 성장과정을 가끔 렌즈에 담는 것이 고작이다.  어떤이들 처럼 사진기를 항상 끼고 다니며 생활의 일면을 차곡차곡 렌즈에 담는 정성과 극성은 아예 찾아볼수가 없다. 당연히 휴대전화에도 사진은 거의 없는 편이다. 사진을 잘 찍지 못한다는 것은 그만큼 관심이 없고 게으라다는 말일 것이다. 당연히 사진을 감상하는 심미안도 가지고 있지 않다.  이런 나에게 사진은 지극히 관심밖의 분야였고, 매우 정적인 분야라고 생각했다. 증명사진, 풍경사진만을 알고 있는 나에게 사진이 정적인 이미지로 고착되어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물론 수많은 움직임속에서 지극히 짧은 순간을 포착해야 하는 것이 사진이라면 정적이라는 나의 관념은 오류임에 틀림없다. 나는 단지 눈에 보이는 사진만을 알고 있었을 뿐이다. 잘생기고 아름다운 배우들로 대표되는 수많은 광고사진들과  입이 다물어지지 않을정도의 절경을 뽐내는 일출,일몰등의  풍경사진만이 내가 알고 있는 사진의 전부였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분명히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사진은 나에게 그런 의미였다. 정적이며, 관념적이고 상업적인....

 

 

사진은 분명히  시대를 기록하는 대표적인 수단의 하나이다. 80년대 민주화항쟁의 도화선이 되었던것중의 하나도, 너무나 유명한 사진한 장 때문이었다. 지금도 기억하는 그 사진은 더이상의 설명이 필요없는 우리 시대의 기록이다.  그래서, 사진은 진실되어야 한다. 피사체를 표현하는데 있어 기교도 중요하지만 진실이 결여된다면 그만큼의 감동도 감소할 것이다.  최민식의 사진집 '소망 , 그 아름다운 힘'은 솔직하다. 피사체 하나하나의 모습이 금방이라도 내게 달려나올것처럼 살아 움직이고 있다. 우리의 일상이기에 그 모습들은 더욱 정겹다. 그래서 진한 감동이 있다.  멀게는 50년대에서부터 가깝게는 2000년대 초반까지의 사진들로 구성되어있는 이 책은 작가의  활동지였던 부산을 주된 배경으로 하고있는 흑백 사진첩이다.  사진 한장 한장에 작가 하성란의 단상들이  곁들여져 있다. 그런의미에서 포토에세이라고 말해도 무방할 것이다.  자칫 이런류의 책에서는 사진의 감동을 쓸데없는 사족으로 인해 반감시켜 버리거나, 알수없는 사진들의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유려한 문체로 그 재미를 배가시키는 언발라스한 경우를 볼수 있다. 누구의 탓도 아닌 서로간의 궁합이 맞지않는 경우일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최민식이라는 거장에대한 존경심으로 가득한 하성란의 경외감을 느낄수 있다. 두 줄 안팎의 짧은 글들이지만 그 글에는 사진을 느끼기에 충분한 내용을 함축하고 있다. 감히 사진을 설명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 사진에 대한 느낌의 연장을 글로써 표현하고 있을 뿐이다. 책을 보는 시간들은 최민식의 글을 읽는 것이고 하성란의 사진을 감상하게 되는것이다. 그만큼 , 두 사람의 사이는 밀착되어 있다.

 

 

이뿐 것 만이 아름다운 것이 아닌, 진실된것이 더욱 아름다울수 있다는 지극히 간단하면서도 어려운 명제를 이 책은 말하고 있다. 진실된 모습이 비록 추하고 비루한 모습일지라도  우리는 삶의 연장선으로 모두 보듬어야 한다. 그리고, 있는 그대로 보고 느낄수 있어야 한다.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없는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이 진실일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삶이란 사람들의 준말이다'라는 하성란의 말을 되새겨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