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터홀릭 두 번째 이야기 - 다시 만난 겨울 홋카이도 윈터홀릭 2
윤창호 글.사진 / 시공사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겨울은 추워야 제 맛이다. 먹고 살 만한 사람들의 이야기라고 치부한다면 할말이 없다. 사실 더운 것 보다는 추운 것이 먹고 살기에는 더 힘든것이 사실이지만, 예전부터 더운 것 보다는 추운것을 여름보다는 겨울을 좋아했던 나에게 추위는 낭만이 아닌, 그냥 내가 선호하는 계절중의 하나가 되어 버렸다. 상대적으로 많이 춥지 않고 눈이 그다지 많이 내리지 않는 우리 나라에서 눈이 많은 추운곳의 이야기는 한번 정도는 선망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닥터 지바고의  배경이 되었던 러시아의 설원이나, 영화 러브스토리에서 눈물나게 뒹굴던 연인, 러브레터에서 목터지게 외쳐대던 여인의 모습등에는 공통적으로 눈부시게 아름다운 눈이 배경을 차지 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홋카이도를 배경으로한 이 작품은 눈이 정말로 좋은 사람들에게는 대리만족으로나마 감상하기에 충분한 책이라고 할수 있다.

 

원터홀릭 첫 번째 이야기인 스칸디나반도편은 읽지 못했지만, 이 책만으로도  저자의 여행에 대한 그리고 겨울에 대한 애착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사진을 전공한 저자답게 아름답게 펼쳐진 홋카이도의 배경은 책속에서도 충분히 그 아름다움을 발산하고 있다.  이웃에 위치한 일본임에도 불구하고 앵글속에 펼쳐진 그 곳의 풍경은 낯설기만 하다. 이웃한 나라라고는 상상하기 힘든 풍경. 같은 일본 내에서도 최북단에 위치한 지리적 환경으로 인해 전혀 다른 풍경과 풍습으로  이국적인 정취가 물씬 풍기는 곳이기도 하다. 하염없이 내리는 눈으로 인해 차가울 것만 같은 홋카이도의 겨울은 두가지로 인해 매우 따뜻하게 보였다. 첫번 째는 일본의 커다란 자랑거리중의 하나인 야외온천이었고, 두번 째는 그 곳에서 만난 정겨운 사람들이었다. 특히 정직과 신용으로 대표되는 장인정신이 물씬 묻어나는 카메라의 대가 미즈코시 선생과의 만남은 진정한 장이의 표본을 보는 것 같아 깊은 울림을 느낄수 있었다. 

 

혼자하는 여행에 익숙하지 않다. 여행의 본래 목적이 어떻든 간에 혼자걷는 길은 한없이 쓸쓸해 보이기 때문이다. 때론 모든것을 떨치고 혼자만의 시간을 가져보고 싶기도 하지만, 나라는 존재는 혼자서 무엇인가를 해 나가기에는 한없이 부족하기만 하다. 혼자하는 여행. 그것도 눈으로 가득한 머나먼 이국땅에서의 저자는 매우 쓸쓸해 보이지만 눈을 좋아하고 사진을 좋아하는 그에게 홋카이도 만큼 따뜻한 곳도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개인적으로 이번 책의 여러 여행지중 맥주로 대표되는 삿뽀로가 나에게는 가장 큰 관심거리였다. 오랜 시간 전통적인 방식으로 맥주를 만들고 있다는 그 곳. 예로부터 술맛이 좋은 곳은 물맛이 좋다고 했다. 삿뽀로에 가면 술도 물도 사람도 모두 따뜻할 것 같은 생각이든다.

 

[본문에서]

달리지 않는 열차에 긴 고드름이 자라듯이 제자리에 멈춰 선 내 안에서는 그리움만이 무성하게 자란다. 아불류 시불류?

기약없는 기다림, 그보다 고통스러운 건 기다릴 무엇이 없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