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루다의 우편배달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4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지음, 우석균 옮김 / 민음사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편의 아름다운 시집을 읽었다.  그 안에는 파블로 네루다라는 위대한 시인이 있었다. 하지만 이 책의 위대함은 비단 네루다 만의 몫이 아니다. 네루다를 사랑하고, 네루다의 시를 사랑한 모든 사람들의 몫이다. 그 중에는 당연 안토니오 스카르메타라는 뛰어난 이야기 꾼의 역할이 크다.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칠레의 위대한 민중시인 파블로 네루다. 아직까지 그 의 작품을 읽어보지 못했지만, 한 권의 책으로 인해 네루다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시인인가를 알게 되었다. 당연히 그 의 작품을 읽어보고 싶은 강한 충동을 느끼게 되었다.



 

영화 <일 포스티노>의 원작으로 유명한 이 책은, 파블로 네루다의 생애를 그린 전기는 아니다. 네루다를 사랑한 많은 사람들의 그에 대한 동경을 그린 작품이다. 칠레의 작은 바닷가 마을에 살고있는 순수 청년 마리오.  낭만적이라기 보다는 현실감이 많이 떨어진다는 것이 그에 대한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어부의 아들인 마리오는  아버지의 온갖 협박에 못이겨 생활전선에 뛰어든다. 단순히 영화를 보기 위한 용돈 마련을 위해 구직을 하게 된 마리오. 그에게 처음으로 주어진 직업은 우편배달부 이다. 우연히 접하게 된 구인광고로 인해 마리오의 인생은 커다란 변화를 맞게 된다. 칠레의 작의 바닷가 마을에서 우편 배달부가 할 일은 그리 많지 않았다. 요즘처럼 온갖 고지서를 배달해야 할 일도 없었고, 더욱이 그 마을 사람들은 대부분이 문맹인지라 마리오의 고객은 오로지 단 한사람 파블로 네루다 뿐이었다. 사랑할수 밖에 없는 위대한 시인 네루다의 전속 집배원이 된 마리오는 이내 그의 열렬한 팬이 되어간다. 시작은 단순히 여자들의 관심을 사기위한 방편으로 네루다의 사인을 얻기 위해 노력하지만, 어느덧 마리오는 네루다의 깊은 곳 까지 읽을수 있는 교감을 가지게 된다. 단순한 관심이 아닌, 그에 대한 진정한 존경과 사랑이 충만하게 된 것이다. 서로에 대해 알아간다는 것은, 서로를 사랑하고 이해한다는 것이다. 마리오를 껄렁한 백수건달로만 알았던 네루다도 어느덧 자신에 대한 진심을 알게 되고 , 그의 진실한 친구가 되고자 마음을 열게 된다.  그 과정에서 두 사람은 수많은 시구를 인용한다. 어찌보면 칠레인들의 생활 자체가 시를 떠나서는 살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까지 하게 된다. 그만큼, 네루다의 영향력이 컸을 수도 있다. 사랑하는 여인을 만나 구애하는 과정에서도, 미덥지 못한 사위를 구박하는 장모의 욕설속에서도 네루다의 시는 어떠한 형태로든 존재하게 된다.  모든이들이 메타포의 넓은 바닷속에 빠져있는 듯 하다.

 

네루다의 멋진 중매로 인해 결혼을 하게 된 마리오. 그 후 네루다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하게 되고, 칠레 민중의 승리를 통해 정치인으로써의 새로운 길을 떠나게 된다. 자신의 정신적 지주였던 네루다와의 이별은 마리오게는 커다란 시련이었다. 로미오를 잃은 줄리엣의 슬픔도 마리오의 그것보다는 크지 않았을지 모른다.  네루다 또한 새롭게 시작한 정치의 길이 그리 순탄치 만은 못했다. 그 중에서도 그를 가장 괴롭힌 것은 자신이 살던곳에 대한 짙은 향수였다. 결국 네루다는 마리오에게 녹음기를 보내주며 자신이 있던 곳에 대한 소리를 녹음해 줄것을 부탁한다. 네루다를 위해칠레의 작은 바닷가  이슬라 레그라의 소리를 녹음하는 마리오. 바람과 파도와 갈매기 그리고 종소리를 녹음하기 위해 뛰어다니는 마리오의 모습은 책으로 읽을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소리였다. 개인적으로 이 책의 가장 절정 이라고 생각하는 이부분으로 인해 나는 영화 <일 포스티노>를 꼭 보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칠레의 구테타로 인해 네루다의 프랑스 대사 생활도 끝나게 된다. 아픈 몸을 이끌고 고향에 돌아온 네루다를 맞이한 것은 냉혹한 정치 보복이었다. 더이상 시인이 살수 있는 시대는 아니었다. 그렇게 네루다와 마리오의 뜨거운 우정은 사라져 간다. 모든이들의 사랑을 받았던 시인의 입에서 더이상 아름다운 시를 들을수 없게 된다. 시가 죽은 시대는 더 이상 살아가기 힘든 시대가 된 것이다. 칠레의 작은 바닷가 이슬라 레그라에 깊은 밤이 찾아왔다.

 

단순히 네루다의 일생을 그린 작품도 아니고, 그의 작품을 찬양하기 위한 책도 아니다. 하지만, 이 책에는 네루다에 대한 진실한 사랑이 가득차 있다. '시는 쓰는 사람의 것이 아닌, 읽는 사람의 것'이라는 마리오의 말은 절대적인 문학적 명제이자, 칠레인들의 생활을 대변해 주고 있다. 마리오의 사랑을 찾아준 것도 시였고, 바닷가 선술집에서 술에 취해 떠드는 취객의 주정도 모두 시였다. 시는 단순히 많이 배운 시인들의 난해한 어휘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닌, 어느 누구나 읽고 쓰고 느낄수 있다는 것을 네루다라는 위대한 시인을 통해 이야기 하고 있다. 메타포로 그려진 사람들의 아름다운 이야기를 읽으며 한번도 가보지 못한 칠레의 작은 바닷가 마을을 사랑하게 되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