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식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1
이상권 지음 / 자음과모음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장이란 무엇인가 소중한 것을 잃어가는 과정이다'  책 표지를 장식한 이 문구가 오랫동안 나의 시선을 사로 잡는다. 책을 덮은 후에 다시 한번 이 문구에 대해 생각을 해보았다. 과연 내가 잃은 것은 무엇일까? 나이를 먹으며, 소위 어른이 되어 가는 과정에서 내가 잃은 것은 무엇일까? 순수,꿈,사랑..... 하지만 이런 것들은 억지로 내가 기억해 내는 단편적인 것들에 불과하다.나는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내가 무엇을 잃었는지 기억을 할 수 없다. 어쩌면 태초부터 나에게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 들이기에 잃어버릴 것도 없었는지 모르겠다. 성장이란 무엇인가 소중한 것을 잃어가는 과정이아니라 , 무엇을 잃었는지도 모른채 흘러가는 과정이라고 말하고 싶다. 나의 지난 시간들이 그리고, 앞으로 보내야 할 시간들이 무척이나 안타깝다.

 

중견작가 이상권. 나에게는 중견작가라는 말도 이상권이라는 이름도 낯설기만 하다. 솔직히 이 작품을 읽기 전까지 저자에 대해서는 이름한 번 들어본 적이 없다. 약력을 살펴보니 주로 청소년소설과 동화를 많이 쓴 말 그대로 중견 작가였다. 하지만, 나는 이 책을 계기로 이상권이라는 작가를 사랑하게 될 것 같다. 항상 새로운 작가를 알아 간다는 것은 행복한 일이다. 아직까지 내가 알지 못하는 동시대의 작가중에 이렇게 훌륭한 작가가 있다는 것이 정말 행복하다. 벌써부터 작가의 다른 작품이 궁금해 지기 시작한다.

 

이 책은 [성인식],[문자 메시지 발신인], [암탉],[욕짱 할머니와 얼짱 손녀],[먼 나라 이야기] 이렇게 다섯 편 으로 구성된 단편 집이다. 다른 단편집에서 흔히 느낄수 있는 함축의 난해함과 행간의 넓음을 이 작품집에서는 찾아 보기 힘들다. 그렇다고 해서 결코 작품들이 단순하거나, 헐렁헐렁 하다는 말은 아니다. 작가의 언어 구사력은 놀라운 정도로 아름답다. 충분히 우리 말을 사용하는 데 있어 능숙함을 엿볼 수 있다. 아마도 자연을 벗삼아 살아가는 작가의 생활이 글에 그대로 녹아 있기 때문이 아닐까 짐작해 본다. 시골은 아니지만 수도권에서 고등학생인 딸아이와 함께 토끼와 닭을 키우고 , 풀과 나무를 가꾸는 전원생활을 하고 있다는 작가의 약력을 보니 이 작품의 내용이 더욱 진실되게 다가온다.

 

표제작 성인식은 고등학생 시우가 자신이 애지중지 키우던 개를 잡는 과정을 성인에 입문하는 성인식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과학고등학교에 다닐만큼 모범생인 시우가 맹장수술 이후 허약해진 기운을 보양하기 위해 어머니는 애지중지 키우던 강아지를 잡기로 한다. 그 과정에서 겪어야 하는 어머니와 아들 사이의 갈등은 한번 쯤 자신이 키우던 동물들의 죽음을 목격한 사람이라면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고통이 수반된다. 더군다나 어머니를 비롯한 주변 사람들은 자신이 행할수도 있는 도축 행위를 끝내 시우의 손으로 끝낼 수 있도록 한다. 마치 그 과정을 통과해야만 어른이 될수 있는 중요한 통과의례와 같다. 실제로 다리 밑에서 개를 잡는 과정은 그 어떠한 의식 보다 엄숙하게 느껴진다. 과연 그 의식을 통과해야만 어른이 되는 것일까? 내가 알지 못한 채 규정되어진 사회적 약속이라는 이름으로 , 우리는 하지 말아도 될 것들을 아무렇지도 않은 채 당연히 행하고 있는 행동들이 얼마나 많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에도 그렇게 울지 않아다는 시우는 자신이 키우던 개의 죽음 앞에서는 하염없는 눈물을 쏟아내고야 만다.

얼마나 울었는지 모른다.내 눈에서는 천천히 눈물이 잦아들었다. 나는 몸을 일으켰다.약간 현기증이 났으나 몸은 가벼웠다. 나는 처음으로 눈물이 얼마나 무거운지 , 때로는 몸보다 눈물이 무겁다는 사실을 알았다. [본문 47쪽]

 

[문자 메시지 발신인]은 학교의 집단 따돌림에 대한 심각성을 이야기 하고 있다. 아무런 이유도 없이 다수의 사람들에 의한 암묵적인 동의로 한 사람을 무차별하게 따돌림 하는 행위가, 언젠가는 바로 내 자신이 그 대상이 될수도 있다는 여고생들의 이야기를 통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의 아픈 현실을 이야기 하고 있다. [욕짱 할머니와 얼짱 손녀]에서는 조류독감이 유행한 마을에서 무차별히 생처분되는 가금류에 대한 아픈 현실을 이야기 하고 있고, [암탉]에서는 자연을 사랑한다는 이유로 전원생활을 즐기는 도시인들의 이중적인 위선에대해 실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닭과 토끼,오리,거위는 결코 애완동물이 아닌 불결하고 시끄러운 존재이다. 그들에게 애완동물은 값비싸고 족보있는 개와 고양이 밖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 사람들에 의한 환경보호론이 대세이 요즘, 우리네 강과 산,바다는 결코 행복할 수 없다. 더불어 인간 또한 마찬가지이다.

마지막으로 [먼 나라 이야기]에서는 쇠고기 수입으로 인한 소값 폭락. 그것으로 겪는 농민들의 좌절감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청각장애인 엄마와 뇌성마비 장애인 아버지에게 유일한 희망이었던 소들은 정부의 무차별한 쇠고기 수입 정책으로 인해 삶의 비탄에 빠지게 된다. 소값 폭락이라는  단적인 문제만이 아닌, 학교를 대표하는 권력집단의 강압적인 행위 , 현실을 무시하는 일방적인 정책이 실제 피부로 느끼는 사람들에게는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 중학생들을 통해 거림낌 없이 이야기 하고 있다. 학생이라는 신분으로 그들이 왜 촛불을 밝힐수 밖에 없었는지, 그들도 더이상은 철부지가 아닌, 이 시대를 살아가는 엄연한 구성원임에 틀림없다는 사실을 우리는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다섯 편의 단편들에는 공통적으로 학생들에 대한 애정과 자연에 대한 사랑이 듬뿍 담겨있다. 고등학생 딸을 키우는 아버지로써의 솔직한 심정이 담겨져 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전혀 어색하지 않은 그 들의 모습과  이질적이지 않은 우리 농촌의 모습에서 작가 얼마나 현실에 대해 고민하고 깊숙하게 동화되어 있는지 느낄 수 있는 작품들 이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근래에 읽은 단편 중에 으뜸으로 손꼽을 수 있는 훌륭한 작품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