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밭
최인호 지음, 김점선 그림 / 열림원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꽃밭 / 최인호 지음 , 김점선 그림 / 열림원 펴냄

 

작가도 이 책에서 이야기하듯 우리문단에서 최인호 만큼 다작을 하는 작가도 드물것이다.

또한 다작에 걸맞게 소위 베스트셀러의 반열에 오른 작품도 무척이나 많은 , 한마디로 이 시대의 가장

잘나가는 작가중의 한명이라고 할수 있다.

대중성과 예술성이라는 끊임없는 논쟁은 차치하고, 오랜시간동안 꾸준한 집필과, 끊임없는 사랑은

작가의 뛰어난 능력이라는데에는 이견이 없지 않을까?

그런 중견작가의 신작 수필집을 설레이는  마음으로 조심스레 넘겨본다.

분홍색의 표지가 책의 제목과 잘 어울리다는 첫 느낌이, 이 책의 전체적인 느낌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꽃밭이라는 평범하고, 단순한 제목하에 펼쳐지는 작가의 단상들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이 책의 많은 부분은 저자의 부인에 대한 끊임없는 예찬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애시절부터 중년의 나이를 넘어 황혼기에 접어든 지금까지 무뚝뚝한 자신을 열심히 보듬어준 아내에 대한

예찬은 사랑이라는 이름을 넘어, 가히 팔불출의 경지에 까지 오를정도이다.

물론  아내에 대한 거침없는 사랑과 자랑은 결국 자신에 대한 자랑일수 밖에 없다. 고로 이 책은 작가 자신에 대한 엄청난 자랑을 늘어놓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부러울 뿐이다.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서로의 존재에 대해 아껴주고 사랑할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그동안의 삶은

충분히 보상받을수 있는 , 아니 그 존재가치의 우수성을 증명할수 있는 것이다.

우리 가까이에 있는 사람에대한 원망은 곧 자기 자신에대한 원망이요, 한탄은 아닐지?

그동안 내가 살아온 방법에 대한 후회는 아닐까?

 

꽃밭이라는 제목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꽃밭이라는 말 자체만으로도 우리는 아름다움과 그윽한 향을 상상할수있다.

과연 우리가 아름답다라고 말하는 꽃밭은 그 곳에 피어있는 꽃의 빼어난 자태와, 감미로운 향기 때문만일까? 만발해 있는 오색찬란한 꽃잎의 물결과, 그 곳을 찾아드는 벌과 나비들의 모습만을 보고 우리는 아름답다고 하는 것일까?

우리가 꽃밭이라고 부르는 곳에는, 아름다운 꽃과 나비들만이 존재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 곳에는 보는 것 만으로도 기분좋아지는 아름다운 꽃뿐만 아니라, 스쳐지나가다 상처가 날수 있는

날카로운 가시도 존재하고, 볼품없고 이름조차 알수없는 수 많은 야생초들도 존재한다.

영롱한 날개짓을 뽐내는 벌과 나비들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꽃잎에 붙어 기생하는 이름모를 작은 곤충들

또한 무수히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런 모든 이름모를 것들을 아울러서 우리는 꽃밭이라고 부르는 것이며, 이러한 전체를 우리는 사랑하는 것이다.

최인호의 꽃밭은 그러하다.

아니 , 인생이라는 우리네 삶의  꽃밭또한 같은 이치이다.

누군가를 사랑한다고 말했을 때 , 우리는 그의 아름답고, 좋은 모습만을 사랑하는 것은 아니다.

개나리, 진달래를 사랑한다는 것은 봄철 만발해 있는 그 순간의 아름다움만을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추운 겨울 앙상하게 떨고 있는 그들의 초라한 모습까지도 아울러 사랑하듯, 그 사람의 암울했던 과거와

초라해질지도 모르는 미래의 모습조차도 아울러 사랑하는 것이다.

아니, 그런것만이 진정한 사랑이요, 꽃밭을 사랑할수 있고, 꽃을 감상할 자격이 있는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과, 수많은 가치관, 서로 다른 종교관등 같지 않은 꽃들이 어울려서 살아가는 인생이라는

넓다란 꽃밭을 잘 가꾸어 가는 방법은 과연 무엇일까?

누구나 다 공평하게 따사로운 햇살을 느낄수 있고, 같은 양의 비를 맞이할 권리가 있다.

내가 조금더 키가 크다고 해서, 이 모든 공평한 권리를 나 혼자만의 특권으로 향유할 수는 없는 법이다.

작은 키로 나의 그림자에 가리워 조각만한 햇살밖에 느낄수 없는 이름모를 풀들이 있다면, 옆으로 한뼘쯤

양보해 줄수 있는 넉넉한 마음이 필요할 때이다.

그것이 최인호의 꽃밭이요 , 우리들 각자가 가꾸어 갈 아름다운 꽃밭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