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의 성별 - 가족은 어떻게 불평등을 재생산하는가 Philos Feminism 7
셀린 베시에르.시빌 골라크 지음, 이민경 옮김 / arte(아르테)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자본의 성별은 단호하게 남성이라 말할 수 있다.

사회기본단위 가족에서부터 시작되는 불평등을 다룬 책을 읽으며 구조적 정서적으로 치밀하게 쌓아온 계급사회의 민낯을 조금은 파악하게 되어 보는내내 분통이 터졌다.
사실 서론에 언급된 크리스틴 델피의 저작을 예전에 읽었을때 조금 어려워하며 읽은 기억이 있어 이 책을 펼치기전에도 경제 문외한인터라 지레 겁을 먹었다. 그러나 여러 가족의 사례연구를 통해 가구와 가계에서 이어지는 명확한 불평등의 모습은 단순한 이해를 넘어 피부에 전달되는듯했다. 그만큼 사례를 보며 더욱 화가 나기도 했지만.

제프베조스와 이혼한 매켄지베조스와 보통의 한부모자녀가정의 어머니가 동일선상에 놓일순 없겠지만 이혼 후 그들이 가진 부가 줄어들었다는 것은 사실이다. 결정사에서 선호되는 여성의 직업은 나열만 해도 그이유가 명백하게 보이고, 맞벌이부부의 자녀돌봄을 위한 시터노동은 잘풀리면 부부의 어머니에게 전가된다.
상속과 이혼이라는 두가지 상황속에서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불평등구조는 여성의 착취가 어떤 방식으로 정당화되고 있었는지 보여준다.

📎도미니크 베르네샤텔은 따라서 맞벌이 모델을 매우 가치있게 평가했다. 기실 자신의 커리어가 남편의 커리어에 종속되었고 가사와 양육 노동의 책임에 압도되었음에도 말이다. (중략)여성의 재정적 독립이라는 규범은 우리의 경우 판사에게서 찾아볼 수 있었는데, 주로 여성들에게 큰 부담을 지운다. 남성처럼 가정의 경제적 필요를 충당해야 한다고 느끼지만, 급여는 더 낮고 가사를 전담하면서 오로지 자신만 직업과 가사의 조화를 찾아내야 한다. 역설적으로, 여성의 자립에 대한 규범은 여남 간 부의 불평등에 기여하고, 이 불평등은 이혼 시에만 두드러진다. 그러나 이 규범은 학력자본을 쌓은 여성들이 재정적으로 남성에게서 독립하지 못한 다른 여성을 판단하는 데 큰 영향을 준다.

📎성별 불평등에서 계급관계와 남성 지배는 분리할 수 없다. 성별 질서의 재생산은 다양한 사회계층 내에서 부를 보존하고 전달하면서 이루어진다. 한편 계급의 재생산은 남성을 부유하게, 여성을 빈곤하게 만드는 과정을 기반으로 한다. 가족의 부가 개인의 지워를 점점 더 결정짓는 지금과 같은 시대에, 계급 불평등의 해결 없이는 여남 간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없으며, 성별 질서를 뒤집지 않고서는 계급사회를 폐지할 수 없다.

*
결국 소유한 자본과 문화적 유산에 따라서도 나뉘는 계급과 그에따른 몰이해를 보며 우리가 나아가야하는방향에 대해서 생각했다. 비가시화된 여성의 노동과 계급의 재생산을 위해 지워지는 여성의 생산 기여도를 보며 내주변의 사례들이 떠올라 씁쓸해지기도 했다.
마냥 어렵게 쓰이지않은 글이었지만 읽다가 창밖의 먼산을 보고 한숨쉬다 다시책읽다 하늘쳐다보다가 독서하기를 반복했던 시간이었다. 하지만 확실한건 여성이라면, 가족과 사회의 테두리안에서 내위치를 한번쯤 재고해봤던 사람이라면 꼭한번 읽어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르테 북서퍼2기 활동의 일환으로 책을 제공받아 읽고 제 감상을 썼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