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루타르코스 영웅전 1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1
플루타르코스 지음, 신복룡 옮김 / 을유문화사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로물루스늑대의 젖과 새들의 모이를 먹고 자란 로마의 건국자

 

- 로마라는 이름의 기원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

트로이 함락 때 도시를 빠져나간 사람들 중 티베리스 강변에 닻을 내린 일군의 사람들이들 중 로마(Roma)라는 여인의 제안으로 팔라티누스 언덕에 정착하게 되고 그 여인에 경의를 표하는 의미에서 도시의 이름을 로마라고 지었다는 또 다른 이야기그러나 가장 믿을 만한 전설은 로물루스가 도시를 처음 세우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로마로 불렀다는 것.

 

로물루스에 출생과 건국 신화에 얽힌 전설들

가장 믿을 만한 이야기에 따르면로물루스와 레무스의 혈통은 아이네아스까지 올라간다아이네아스의 후손들 중 누미토르와 아물리우스 형제 중 아물리우스가 형 누미토르의 왕국을 빼앗고그의 딸 일리아를 여사제로 만든다하지만 일리아는 쌍둥이를 낳게 되고왕의 시종에 의해 버려지지만늑대에 의해 키워지고우여곡절 끝에 아물리우스를 죽이고 본래 자란 곳으로 돌아갔다.. 그 후는 잘 알려져있듯 로물루스와 레무스는 도시를 세울 위치를 두고 다툰 끝에 레무스는 운명을 달리하고로물루스는 로마를 세운다.

 

- 사회 제도 구축주변 도시와의 전쟁

레기오라고 부르는 군대 체제파트리키안(귀족)과 원로원 체제를 만들고 귀족과 평민을 구분짓는다사비니족 여인들을 납치하여그들과 전쟁이 게시되지만 그들과의 화해로 로마는 더욱 번영한다.

 

테세우스와 로물루스의 비교

플루타르코스는 전반적으로 로물루스를 테세우스보다 높이 평가한다로물루스는 미천한 상황에서 훌륭한 인물이 되었지만테세우스는 흰 돛을 달기로 한 약속을 잊어 아버지를 죽게 하였다뿐만아니라 결혼적령기가 아닌 헬레네를 납치한 행동은 정당화할 수 없다는 것플루타르코스는 마지막으로 로물루스는 신의 총애와 보호 속에 살았다고 평가한다.

 

인간의 덕성과 영혼은 자연의 법칙과 신성한 정의에 따라 인간에서 영웅으로영웅에서 반신(半神)으로 올라선다그리고 하늘로 들어가는 마지막 단계를 통해 정화되고 성화되며이를 통해 죽음과 의식에서 벗어남으로써 반신에서 신으로 올라가게 된다(155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