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 오류 보고서 - 쓸데없는 뼈에서 망가진 유전자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온갖 결함들
네이선 렌츠 지음, 노승영 옮김 / 까치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모 스테릴리스(불임의 인간)

주위에서 난임불임으로 고생하는 부부를 본 적 있는가? 나 또한 미혼이었을 때는 전혀 관심없었던 문제였다. 하지만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키우고 보니, 주위 부부들(친적, 지인) 중 그러한 인생의 싸이클에서 고생하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 알게 된 두 사례만 들어보겠다. 첫 번째, 친구가 쌍둥이를 낳았다고 했다. 요즘 쌍둥이가 흔한 이유가 배란 유도술 때문이라는데 혹시나 해서 친구에게 물어보았다. 친구는 대번에 그렇다고 답했다. 두 번째, 몇 년째 난임,불임으로 고생하는 부부를 알고 있다. 이런 저런 검사를 무지 받았다고 했다. 병원에서는 무엇이 잘못 되었는지 알 수 없다는 답을 들었단다. 결국 시험관 아기로 (그것도 운 좋게 한 번에) 임신에 성공하였다(축하!).

난임, 불임으로 아이를 가지지 못한 사례, 모르긴 몰라도 내 주위 사례만 이 정도니 아마 보다 흔하지 않을까 싶다. 사람들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임신과 출산의 과정에서 이런 고통을 겪을까? 저자 네이선 렌츠는 인간 몸의 갖가지 오류들을 다룬 이 책에서[4장 호모 스테릴리스(Homo sterilis, 불임의 인간)] 이 물음에 대한 명쾌한 설명을 시도한다. 저자는 한 마디로 대답한다. ‘인간 신체의 오류와 결함때문이다. 다시 말해 애초부터 그렇게 생겨먹었기 때문이다.

정자와 난자의 생산에서 태아의 생존에 이르는 전체 생식 과정은 인간 생 식계 통의 온갖 설계 결함을 보여주는 문제들로 가득하다(134p).

진화의 무계획성

저자는 생식 과정에서의 다양한 설계 결함을 설명하는데, 특히 정자와 난자에 대한 설명은 대단히 재미있다(특히 정자). 정자는 인체 세포 중 가장 작은 축에 들지만, 빠르기는 으뜸인데, 정자가 난자를 만나기 위해서 헤엄쳐가야 하는 거리는 17.5cm 라고 한다.(성인 손바닥 한뼘 정도) 그런데 이는 정자 몸길이의 3,000배가 넘는 어마어마한 길이지만 이 속도라면 45분만에 나팔관까지 도달 가능하다. 그런데 아뿔싸! 정자는 왼쪽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정자는 코르크스트루(corkscrew)라는 추진 시스템을 가졌기 때문에, 편모를 좌우로 흔들어서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오른쪽 나선 방향으로 꼬리를 돌려 점점 더 큰 원을 그리며 헤엄친다. 때문에 나팔관까지 도달하기 까지는 45분이 아닌 사흘이라는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물론 극소수의 정자만이 목표 지점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의 결함 외에도 낮은 운동성, 기형, 낮은 활력, 정액의 산도나, 점도에서의 비정상 등 저자의 표현대로 오만 가지문제가 생길 수 있다.

불임,난임의 원인인 정자의 문제 외에도 건강한 난자를 배란하지 못하는 것, 인간의 배란이 완전히 은폐되어 있다는 것, 정자와 난자가 수정을 하였다 해도 염색체 이상 때문에 발생하는 자연유산(모든 유산의 최대 85퍼센트) 등 다양한 사례들을 친절하게 설명한다. 이에 더해 출산 과정에서 호모 사피엔스 만이 겪는 문제(좁은 골반과 태아의 커다란 두개골), 엉뚱한 곳에서 시작된 임신으로 인한 사산 등 설계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식 전반의 문제를 꼼꼼하게 짚어낸다. 이러한 문제는 진화의 무계획성에서 기인한다.

진화는 계획하지 않기 때문이다. 진화는 무작위적이고 엉성하고 부정확하며 무정하다(152p).

인간 진화와 설계 오류 - 반회후두신경

저자가 설명하고 있는 신체의 무수한 결함들(시신경 원반 맹점, 부비동, 반회후두신경, 십자인대 등등) 중 인간의 진화가 무작위적이고 계획적이지 않다는 것을 뚜렷이 보여주는 것은 반회후두신경이 아닐까 싶다. 뇌의 정수리 근처에서 시작되는 반회후두신경의 축삭(뇌의 명령을 전달하는 다발)은 후두 근육(말하고 노래할 수 있게 하는 근육)에 연결되는데, 그 신경은 뇌와 후두가 있는 윗목 사이의 몇 센티미터에 걸쳐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가슴과 목을 에두르는 바람에 길이가 세 배로 늘어나 있다.

 

이런 비경제적 설계의 이유는 바로 진화에서 찾을 수 있다. 반회후두신경은 옛 어류에서 처음 생겼으며 모든 척추동물이 공유하고 있는데, 어류에서는 뇌와 아가미(후두의 조상)를 연결하고 있다. 어류의 반회후두신경은 뇌에서 아가미까지의 직진 경로에서 심장에 연결된 큰 혈관들 사이를 통과하는데, 이 혈관들은 포유류의 갈라진 대동맥에 해당한다. , 어류가 포유류, 인간으로 진화함에 따라 반회후두신경은 모든 척추동물의 대동맥 아래를 지나가게 된 것이다(그리고 길이가 쓸데없이 길어졌는데 기린의 경우는 5m에 달한다).

우리의 미래와 과학

이 책에는 위의 사례들 외에도 신체의 설계 결함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예들을 다루는데, 현재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인 DNA 중 쓸모없는(또는 의외의 역할을 하는) DNA를 연구하는 정크DNA, 유전자 결함에서 비롯되는 갖가지 질병들, 뇌의 결함에서 비롯되는 갖기지 편향과 오류들을 두루 다루고 있다. 이쯤 되면 정교하고(아름다울 정도로) 신기한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우리 몸이란 생각에 균열이 많이 생겼을 것이고, 우리 신체가 결함투성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렇지만 이 사실을 담담하게 받아들인다고 인간이 위대하지 않음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저자는 신체의 결함을 극복할 수 있는 과학의 능력을 강조한다. 인류의 미래는 과학에 달려 있다.

결함을 극복할 수 있는 과학이나 인류의 능력을 절대 과소평가하지 말라...인류는 생물학적 수단만 가지고서는 결코 빙기를 넘기지 못했을 것이다.슬기도 필요했다. 오늘날 우리에게도 슬기가 절실히 필요하다(288p).

인간의 결함을 밝혀준(밝혀줄) 것도 과학이고 이를 극복할 수 있게 해 준() 것도 과학이다. 과학의 능력은 곧, 인간의 능력이다. 믿고 읽는 역자의 역자후기 중 한 대목을 인용하는 것으로 마치고자 한다.

역설적이게도 이 온갖 결함이 위리의 위대함을 입증한다. 우리는 이 모든 결함에도 불구하고, 또한 이 모든 결함 때문에 인간이다(299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