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 뻔한 세상
엘란 마스타이 지음, 심연희 옮김 / 북폴리오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우리가 살 뻔한 세상 서평

-올여름 최고의 SF소설

-파라마운트사 영화화 결정

 

 

이 책은 SF 판타지 소설로 영미 소설이다. 우리가 살 뻔한 세상, 즉 미래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소설이었다. 우리의 미래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주로 어떤 미래를 상상할까? 지금 보다 더 최첨단인 그런 시대를 상상하지 않을까 생각했다. 이 책의 배경은 2016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그런 2016년이 아니라 최첨단의 세계가 된 2016년이다. 이 세계에서 살고 있는 인물이자 이 책의 주인공인 톰 배런은 이곳에서 최첨단의 다양한 혜택을 누리고 살고 있다. 그러던 중 아버지가 운영하고 있는 시간여행프로젝트에 합류하게 된다. 그런데 능력이 없었던 주인공은 이 프로젝트의 팀장인 페넬로페 베슐러를 사랑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 프로젝트가 실패하게 된다. 그 후 톰은 1965년의 과거로 떠난다는 것이 이 책의 줄거리이다.

SF 판타지 소설이라고 하면 로봇과 관련된 소설들이 많이 떠올랐는데 이 책은 시간여행을 소재로 다루고 있어서 신선했다. 시간여행, 꿈에서는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현실에서는 시간여행이 불가능하기에 이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있고, 또 기술의 발전으로 가능하게 된다면 시간여행이 가능해질까? 시간여행으로 인한 부작용은 없을까? 시간여행이 좋은 것일까? 등 이 책을 읽으면서 시간여행에 대해서 다양한 생각을 해볼 수 있었다.

이 책은 SF소설이기에 과학적인 이야기들이 많이 나왔던 것 같고, 우리가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지식으로 이 책의 세계 설명이나 시간여행과 같은 내용들이 구성되어 있기에 이 책이 어려울까봐 읽지 못하지는 않을 것 같다. 오히려 이러한 과학적인 내용들이 흥미로웠다. 이 책의 전개는 시간여행이기에 시간의 교차, 변화와 같은 상황들에서 이 책의 내용들이 어떻게 바뀌어 나갈지 생각해보면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의 결말은 우리가 예상한 결말일 수도 있고, 우리가 생각지 못한 부분들도 있을 것 같다.

 

 

(7p)

이 책의 첫 시작 부분이다. 우리가 살 뻔한 세상이라는 이 책의 제목을 보고 어떤 내용들이 나올지 궁금했었고, 우리가 살 뻔한 세상은 어떤 세상일지 상상해보았다. 이 책의 주인공은 우리가 살 뻔한 세상에서 살고 있었기에 그 세상이 크게 어떻게 다른지, 좋은지에 대한 생각을 해보지 않았을 것 같다. 그런 그가 그에게 벌어진 일들에 의해서 우리가 살 뻔한 세상이 아니라 살고 있는 세상으로 왔다는 점. 이 책에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부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세상의 여러 사람들 중 한 명이었던 이 책의 주인공에 의해서 변하게 된 세계, 우리가 살 뻔한 세상이 궁금하다면 이 책을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