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교 폭력, 우리 아이를 지켜 주세요 - 지혜로운 선생님과 학부모들이 봐야 할 학교 폭력의 모든 것
최우성 지음 / 성안당 / 2023년 9월
평점 :
지혜로운 선생님과 학부모들이 보야 할 학교 폭력의 모든 것
< 학교폭력, 우리 아이를 지켜주세요>
가장 합리적인 대응 방법을 찾아 우리 아이를 지킨다!
88문 88답, 학교 폭력에 대한 사례를 통해 해결책을 찾다!

2023년, 학교 폭력으로 힘들어하는 분들에게 전하는
23년차 교사이자 학교 폭력 전담 장학사의 이야기를 들어보아요.
학교 폭력!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신체, 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
# 학교 폭력 예방법 제 2조 (정의)
1. "학교 폭력"이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력, 감금, 협박,
약취,유인, 명예훼손, 모욕, 공갈, 강요, 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 폭력 정보 등에 의하여
신체 정신 또는 재산상의 패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한다.
1-2. "따돌림"이란 학교 내외에서 2명 이상의 학생들이 특정인이나 특정 집단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으로 신체적 또는 심리적 공격을 가하여 상대방이 고통을 느끼로록 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학교 폭력 위형에 따른 예시로 집단적으로
상대방을 의도적이고 반복적으로 피하는 행위
싫어하는 말로 바보 취급 등 놀리기, 빈정거림, 면박주기, 겁주는 행동
, 골탕먹이기, 비웃기
다른 학생들과 어울리지 못하도록 막는 행위
아이들 사이에서 이런 일이 일어난다는 현실에 마음이 무겁습니다.
특히, 따돌림의 경우는 대부분의 학부모나 교사들이 인지하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가해 학생도 자신의 행위가 폭력인지 모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인지하도록 알리고 행동을 멈추게 해야 합니다.
주의할 점은 가해 학생과 피해 학생을 강제로 한자리에 불러와 화해를 시키거나
오해를 풀게 시도하는 것은 절대 금해야 합니다.

2023년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월 (KEDI)의
2022년 2차 학교 폭력 실태조사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학생의 1.6%가 학교 폭력을 당했으며,
초등학생은 2.9%, 중학새은 1%, 고등학생은 0.3%로
학교폭력은 나이가 낮을 수록 높았습니다.
그 중 폭력 유형별로 언어폭력 (69.1%), 신체 폭력 (27.3%), 집단 따돌림 (21.3%) 순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1. 청소년기에는 여럿이서 무리지어 몰려다니는 경향이 있습니다.
게다가 무슨 일이 얼나났다고 판단되면,
자기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싶어하는 심리도 강한데,
교사와 보호자들은 바로 이 점에 주목해야 합니다.
어떤 형태의 폭력이든 방관자와 목격자, 동조자는
그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2. 동일 사안에 대한 이중 처벌은 불가능하며,
이미 선도 처분이 내려졌던 사안에 관한 학폭 심의위에서
중복하여 신청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 학교폭력, 우리 아이를 지켜주세요>읽으며,
아이를 위한 학교 폭력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숙지해 봅니다.
<출판사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