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아이를 위한 사교육은 없다 - 사교육을 이기고 상위 1%로 도약하는 힘
김현주 지음 / 청림Life / 2024년 3월
평점 :
사교육을 이기고 상위 1%도약하는 힘
<내 아이를 위한 사교육은 없다>
나무보다 숲을 보는 최상위 공부법

김현주 작가는
<내 아이를 위한 사교육은 없다>에서
'자녀의 공부로 힘들고 불안한 학부모님께' 라는 이야기로 서두를 엽니다.
솔직히 대한민국에서 자녀의 공부에 대해
불안하고 힘들지 않은 부모들이 있을까요?
특히, 사교육없이 아이를 키운다는 건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아이가 초등학교를 입학하고,
중학교를 입학하면서
그 불안감은 점점 늘어만 갑니다.
기하급수적으로 말이지요.
이러한 불안감으로 고민하고 걱정하던 차에~~
<내 아이를 위한 사교육은 없다>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작가의 서두의 말 중에 눈에 들어오는 문구가 있네요.
"아이가 공부를 잘하려면 부모 역시도 공부하고 노력을 기울여햐 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노력은 드러나지 않기에 평가받지도 못합니다."
솔직히 저는 작가의 말대로 아이들이 좀 더 효율적으로 공부하고,
노력한 만큼 이룰 수 있도록 해주고 싶습니다.
그래서 더 나은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말이지요.
그러기 위해 사회에 만연한 사교육 시장이 아닌 다른 선택이~
나의 선택이, 나의 방법이 내 아이에 미래를 위해 옭은 것이라는
긍정의 에너지가 필요했던 것 같습니다.
자~~ 저와 같은 생각을 가진 학부모가 있으시다면,
이제 사교육 시장에서 벗어나
<내 아이를 위한 사교육은 없다>을 함께 읽어보아도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는 잘 하고 있습니다.~^^
욕망를 딛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힘이 무엇인지~~
작가가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볼까요?
유익하고 다양한 소주제들이 많은 데요.
저는 그 중에 제가 늘 고민했던 학군지와 비학군지에 대하
살짝 보여 드릴께요.

아이를 키우면서 학군지와 비학군지라는 말은 다들 들어보셨으리라 생각됩니다.
학군은 통학 가능한 범위에 있는 중학교와 고등학교들을 의미합니다.
저도 아이가 학교 갈쯤~~
그저 아이가 다니기 좋도록 가까운 곳에 학교가 있으면
감사한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단지, 저와 신랑은 초등학교에서는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길 바라는 마음에
운동장이 넓은 학교를 선택했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좋은 학군지는
명문 상위권 학교를 보내는 곳이 좋은 학군지가 되더라고요.
상대적인 박탈감이 느껴지는 시점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내 아이를 위한 사교육은 없다> 의 책을 읽다보니
내가 중요한 걸 놓치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었습니다.
아이의 미래를 위한 나의 노력!
<내 아이를 위한 사교육은 없다>을 탐독하며
차근차근 도전해 보아야 겠습니다.
나의 노력이 우리 가족의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도록 말이지요.
<출판사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