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의 언어 - 나를 잃지 않고 관계를 회복하는 마음 헤아리기 심리학
문요한 지음 / 더퀘스트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관계의 언어>

나를 잃지 않고 관계를 회복하는

마음 헤아리기 심리학

" 우리 관계가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습관적 판단을 멈추고 친밀감을 키우는 관계수업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인 문요한 작가가 들려주는

<관계의 언어>로 인간 관계의 워크숍 시간!

가져보아요.

 

<관계의 언어>에서

마음 읽기 (mind reading)와 마음 헤아리기 (mentalization)

상대방에게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배워보아요.

작가는<관계의 언어> 를 통해서

좋은 관계란, 나, 너, 우리가 모두 커지는 상호 확장의 관계이며,

이는 마음 헤아리기를 통해 가능하다고 합니다.~

내가 점점 작아지는 관계에서 벗어나 함께 WinWin할 수 있는 관계!

단순한 마음 읽기

( 사람의 과 행동의 의도를 느낌과 짐작으로 속단하는 것)에서 벗어나

마음 헤아리기를 시작해 볼까요!

 

<관계의 언어>에서 작가는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존중 (감정의 존중)이라고 말합니다.

심리학자 랜디라슨 (Randy Larsen)4의 법칙 (Rule of four)에서

'나쁜 일 한가지의 강한 영향력을 상쇄하려면

좋은 일 네가지가 필요하다.'고 이야기 합니다.

관계 회복을 위해 다정한 네번의 대화보다는

한번의 다툼을 만들지 않는 것이 좋겠지요~^^

진정한 공감은 상대의 주관적 경험을 바꾸려 하지 않으면서

그것에 동참하거나 공유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너무 사랑하기에~~

참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요?

(상대의 마음 읽기가 어려운 이유)

1. 우리하는 일체감과 집단의식으로,

상대를 자신처럼 느끼고 있기에~

2. 우리의 마음에는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들으려는 선택적 지각 특성이 있기 때문에~

3. 상대의 마음을 읽으려는 동기가 떨어지기 때문에~

4. 서로를 잘 알고 있다는 고정관념 때문에 ~

4가지를 통해 우리가 유의해야 할 것들 생각해 보고

진정한 마음 헤아리기를 도전~해 봅니다.

 

<관계의 언어>에서

마음 읽기는 무의식적이며, 자동적이고 빠르고 판단적이며,

비언어적인 반면

마음 헤아리기는 의식적, 이성적이며, 느리고 비판단적이며,

언어적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언어철학자 폴그라이스 (Paul Grice)

대화를 할 때, 진실되게, 필요한 말만, 주제과 관련해서

분명하고 조리 있게 말하라고 조언합니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특히, 마음 헤아리기 언어를 통해서

상호 성장하는 관계를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마음이 좀 어때?"

관심과 호기심의 말

" 그랬구나."

반영하고 공감하는 말~

"좀 더 얘기해 줄 수 있어?"

촉진하는 말~

" 그 부분은 미안해."

사과하거나 약속하는 말~

"이렇게 해주면 좋겠어."

요청하거나 부탁하는 말~

 

<관계의 언어>에서

내가 놓치고 있는 부분들을 들여다 보게 됩니다.

아직은 많이 부족하지만,

마음헤아리기 언어와 시스템을 통해~~

스스로를 정비해 보아야 겠네요.

"더 빨리 흐르라고 강물의 등을 떠ㅣㄹ지 마라.

풀과 돌, 새와 바람, 그리고 대지 위의 모든 것처럼

강물은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

-프랑스 시인 장 루슬로 ( Jean Rousselot)-

 

<출판사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