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의좋은 형제는 광합성으로 벼를 키워 ㅣ 과학 품은 전래 동화
윤초록 지음, 김윤정 그림 / 풀빛 / 2023년 4월
평점 :
과학을 품은 전래동화
<의좋은 형제는 광합성으로 벼를 키워>

전래 동화 속에 과학이 담겨 있다니 생각만해도 흥미롭지 않나요?
과학과 가까워지는 시간!
<의좋은 형제는 광합성으로 벼를 키워>와 함께
즐거운 전래동화 속 과학여행을 떠나 볼까요?

<의좋은 형제는 광합성으로 벼를 키워>에는
의좋은 형제를 비롯한
효녀 심청, 팥죽할머니와 호랑이,
선비와 갈모, 훈장님과 꿀단지 등
6편의 전래 동화와 과학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는데요.
재미난 민화 속 과학 지식을 배워보아요.
자~~ 많은 이야기 중~~
<의좋은 형제> 속 과학 여행 출발합니다.
의좋은 형제 이야기하면 여러분은 어떤 내용인 떠오르시나요?
'형님이 그 많은 벼를 혼자서 수확하려면 얼마나 힘들까?
내가 좀 도와야 겠어.'
'내 학한 아우가 내 논에 와서 벼를 베어 놓았구나.'
'아우는 살림을 차린 지 얼마 안 되어서, 돈 쓸 일이 많을 텐데......'
'형님은 나보다 챙겨 먹여야 하는 식구가 많은데......'
매일 투닥거리는 두남매를 보며
의좋은 형제 처럼 사이좋게 지냈으면~~하면 바람을 갖게 되는데요.
그렇게하려면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전래동화 속 이야기를 들었다면
이제 과학상식에 대해 배워 볼까요?

"형제가 벼를 베어 낸 자리에서 내년에도 벼가 자랄까?"
"아니, 벼는 한 해만 사는 한해살이 식물이야."
그럼, '식물의 한살이' 부터 알아야 겠지요.
씨앗에서 싹이 트고, 자라고, 다시 열매를 맺어 번식하는 것을
'식물의 한살이'라고 합니다.
벼의 한살이는 볍씨가 따듯한 온도와 물~을 통해 떡잎이 나고
줄기와 잎이자라 어린잎이된다.
이것이 바로 어린 모가 되는 것이지요.
농부들이 어린 모로 모내기를 하고
이 벼는 여름동안 쑥쑥~~자라 벼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게 됩니다.
낱알이 바로 쌀이되는 것이지요.
벼와 같이 1년만 사는 식물을 '한해살이 식물',
여러해 동안 사는 식물을 '여러해살이 식물'이라고 합니다.
식물의 한해살이에 대해 배우고
빛을 통한 광합성도 배우고~~
재미와 흥미를 더한 전래과학동화네요.
*광합성이란 식물이 빛을 이용해 물과 이산화탄소로 양분 (포도당)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의좋은 형제는 광합성으로 벼를 키워>로
과학지식을 넓힐 수 있는 좋은 기회네요.
<출판사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