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념연결 초등 사회 사전 - 140개 질문과 개념으로 초등 사회 완전 정복! ㅣ 개념연결 초등 사전
배성호.주수원 지음, 김영화 그림 / 비아에듀 / 202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140개 질문과 개념으로 초등 사회 완전 정복
<개념 연결 초등 사회 사전>
한 권으로 한 눈에 쏙!
초등 사회의 모든 것이 담긴 도서!
<개념 연결 초등 사회 사전>로
즐거운 사회 공부 시작해 볼까요?

사회/문화/경제/ 정치와 법까지
사회시간에 궁금했던 질문들을 모아모아~
<개념 연결 초등 사회 사전>에 담아보았는데요.
그 동안 궁금했던 내용들~~
이제 어려운 사회 개념도
<개념 연결 초등 사회 사전>통해서 해결해 보아요.

<개념 연결 초등 사회 사전>에는
그 동안 궁금했던 초등과정에서의 사회 과목에 대한 질문이 140개!
담겨 있는데요.
민주주의와 시민단체, 참여와 여론, 인권 등 주제별 단어들에 대한 핵심 질문이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하네요.
질문이 있다면 당연히 답변이 함께 있어야 겠지요.
'30초 해결사'에는 질문에 대한 답이 담겨 있는데요.
해시태그를 통해서 키워드도 머릿 속에 쏚쏙~
'30초 해결사'만 읽고 뭔가 아쉽다면,
'그것이 알고 싶다.'를 통해서 조금더 자세히 배워볼 수 있답니다.
이제 사회에 대한 맥!이 잡히나요?
<개념 연결 초등 사회 사전>는
사회가 어렵게 느껴지는 친구들에게 조금더 친숙하게 다가가는 사회개념도서네요~
여기서 끝나면 뭔가 아쉽겠지요!
(개념 연결) 해당 개념과 관련된 사건이나 이야기를 통해서
생각하는 시간입니다.
개념과 연결된 사건이나 이야기 속에서 여러분은 무엇을 발견하셨나요?
여러분의 생각주머니가 커지고 있나요?
지루한 사회 공부가 아닌
재미있는 사회 공부를 원한다면
<개념 연결 초등 사회 사전> 와 함께해 보아요.
재미에 실력까지 쑥쑥 커지네요.
사회/문화/경제/ 정치와 법 등
고릴라 사회 연구소에 오시면 즐겁고 재미있는 역사 여행이 시작됩니다.
그 끝은 어디일까요?
해심개념과 단어까지
"<개념 연결 초등 사회 사전>로 사회는 내가 접수하겠어!"
자~ 그럼 여기서 질문 들어 갑니다.
"소풍 장소를 정하는 것도 정치라고 하나요?"
정치란 무엇일까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학>이라는 책에서
'인간은 정치적인 동물이다.'라고 했는데요,
정치는 Politics!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인 '폴리스'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폴리스는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도시 국가로,
그리스의 정치, 경제, 사회 생활의 기본 단위였습니다.
즉, 폴리틱스라는 단어에는 나라의 일이 곧 정치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는 것이지요.
반면, 한자로 정치(政治)는 바르게 하기 위해 일을 하거나
회초리로 치는 것이라는 뜻과 스스로 자신들의 부조화로운 면을
극복하도록 돕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요.
자신과 다른 사람의 부조화로운 것, 부정적인 것을 바로 잡아 극복하는 일이라고 합니다.
'여러 사람이 더불어 살아가게 하고 사회 질서를 바로 잡는 일'로
공동체 안에서 함께 내리는 모든 결정을 의미합니다.
<개념 연결 초등 사회 사전> 을 읽다보니
저도 조금은 정치적인 인간이 되어 가는 듯합니다.
<개념 연결 초등 사회 사전>은 어렵게 느껴졌던 사회 개념과 상식을
조금 더 친숙하게 그리고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는데요.
사회 사전이라고 딱딱할 거라는 생각은 NO!NO!
재미있고 쉬운 사회 개념 도서네요.

(개념 연결) 코너에서는 재미있는 읽을거리가 담겨 있는데요.
정치에 의미에서 폴리스에 대한 개념 확장까지
상식의 바다에 풍덩~ 빠져들게 됩니다.
공부를 위한 공부가 아닌
궁금증과 호기심으로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찾아보게 되는 사회 시간이네요~
140개의 질문을 따라가다보면
어느 새 사회/문화/경제/ 정치와 법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내 것이 된답니다.
<개념 연결 초등 사회 사전> 의 책장을 넘기면
사회개념의 세계로 빠져들게 되는데요.
재미있는 사건들과 역사적 이야기가 가득~~~
멈출 수가 없네요.
자~~ 이렇게 개념과 역사적 사건, 핵심 단어까지 배웠다면
우리의 사고력을 넓혀볼까요?
사회 토론 시간을 통해서 이슈화된 주제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데요.
투표!
꼭 참여해야 하는 것일까요?
의무 투표제와 투표하지 않을 권리에 대해~
기후 변화에 대응할 것을 촉구하며
스웨덴의 학생 그레타 툰베리는 매주 금요일 스톡홀름의 국회의사당 앞에서
기후를 위한 등교 거부가 적인 팻말을 들고 1인 시위를 벌였습니다.
학생이라면 학교에 가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
학생의 의무와 권리! 어느 것이 옳은 걸까요?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대한 아이들의 생각할 시간인데요.
정답이 뭐냐고 물으신다면 정답은 없습니다.
내가 생각하는 것이 정답이 아닐까요?
흥미로운 사회/문화/경제/ 정치와 법에 대한 이야기가
가득한 <개념 연결 초등 사회 사전> 으로 재미있는 사회 공부하고 있답니다.
<출판사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