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잘사는 나라 못사는 나라 - 석혜원 선생님이 들려주는 지구촌 경제 이야기, 개정증보판
석혜원 지음, 고상미 그림 / 다섯수레 / 202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석혜원 선생님이 들려주는 지구촌 경제 이야기
<잘 사는 나라 못 사는 나라>

잘 사는 나라 못 사는 나라는 어떤 나라일까요?
진정한 경제 성장을 위한 필독서!
<잘 사는 나라 못 사는 나라>를 읽으며
사람들과 더불어 잘 살 수 있도록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볼까요?

<잘 사는 나라 못 사는 나라>에는 책 서두에
잘 산다는 건 어떤 것인지 질문을 던집니다.
'크고 좋은 집에 살고 값비싼 자동차에 ......'
돈이 많은 나라가 잘 사는 것일까요?
국민들이 마음 편하게 사는 나라가 잘 사는 것일까요?
아름다운 자연 환경과
사회복지 제도가 잘 되어 있는 나라가 잘 사는 것일까요?
여러분은 어떤 나라가 잘 사는 나라라고 생각하시나요?
경제적인 관점에 따라, 개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잘 사는 나라의 기준은 달라집니다.

<잘 사는 나라 못 사는 나라>에서는
경제적인 수준과 국민들의 생활 수준을 비교해서 이야기 하는데요.
이런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우리는 우선 국민소득에 대해 알아볼까요?
국민 소득은 한 나라의 국민 전체가 벌어들인 돈!
즉, 한 나라 국민이 일정 기간에 새로의 생산한 가치 (부가가치)를
모두 돈으로 환산해서 합한 것입니다.
국민 소득= 국민 총소득
그렇다면 우리는 국민 총소득으로 무엇을 알아 볼 수 있을까요?
바로, 나라 천제의 소득 수준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건 나라 전체의 소득을 말하게 때문에
이것만으로 국민의 평균 생활 수준을 파악하긴 어렵답니다.
인구에 따라 국민 총 소득은 달라지기 때문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1인당 국민 총 소득이 필요하답니다.
<잘 사는 나라 못 사는 나라>는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경제 용어와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구성하고 있는데요.
예전에 수업시간에 배웠던 경제는 어렵게만 느껴졌는데
<잘 사는 나라 못 사는 나라>를 읽으니
경제와 친해지는 느낌이 듭니다.
그리고 나도 경제 박사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렇다면 돈을 많으면 잘 사는 것일까요?
2012년 부터 국제 연합에서는
각 나라의 국내 총생산, 기대수명, 사회적 환경 등을 평가해서
행복지수를 알아보았는데요.
2022년 세계 행복지수를 나타낸
'세계 행복 보고서'에 대한민국의 행복지수는
146개국 중 61위! 입니다.
2021년 1인당 국민 소득 3만 4980달러인 대한 민국!
1인당 국민 소득이 1만 2310달러인 코스타리카는
행복지수 16위!
1인당 국민 소득이 1만 4940 달러인 과테말레는
행복지수 30위!
어떻게 된 것일까요?
전 행복지수가 10위 안에 든 나라들이 궁금해지는데요.
핀란드, 덴마크, 스위스, 아이슬란드,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룩셈부르크, 뉴질랜드, 오스트리아 입니다.
대부분 소득 수준도 높지만 복지제도가 잘 갖추어져 있고
사회적 신뢰와 투명성이 높은 나라들인데요.
그저 경제적인 발전 뿐만 아니라
축적된 부를 국민이 골고루 누릴 수 있는 나라가
바로 모든 국민이 행복한 나라가 아닐까요?
그리고 대한 민국도 그렇게 되기 위해 우리가 노력해야 겠지요.
<잘 사는 나라 못 사는 나라>를 통해서
가치있는 경제성장! 만들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출판사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