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러캔스의 비밀 - 살아 있는 화석 물고기
장순근 지음 / 지성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아있는 화석 물고기

<실러캔스의 비밀>


살아 있는 화석이라 블리는 '실러캔스' 는 멸종되었다고 생각했지만 모양이 거의 변하지 않고 산 채로 발견된 고생물입니다. 과연, 실러캔스는 진화도 하지 않은 채 수 백 년을 살았을까요?

서인도양실러캔스- 1938년12월, 남아프리카 해안에서 발견!

인도네사아실러캔스 - 1997년 9월 인도네시아 바다에서 발견!


<실러캔스의 비밀>을 읽으며 

실러캔스의 궁금증을 풀어볼까요?


<실러캔스의 비밀> 에는 실러캔스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가 가득 담겨 있습니다.

1938년 12월 22일, 남아프리카 찰룸나강 에서 최초로 발견된 실러캔스는 

그 후로도 1952년 모모로 근해, 1986년 한스 프리케가 바닷 속에서 관찰 등 

2019년, 남아프리카 수심 72미터 깊이의 바다에서 발견!되고 있습니다.


비어 있는 가시라는 뜻을 가진 실러캔스 (Coelacanth)는

실제로 꼬리지느러미 가시 속이 비어 있다고 하는데요.


미국 지질학자 루이 아가시 (1807~1873)에 의해 <화석 어류의 연구> 1839년

 처음 명명되었다고 합니다.

실러캔스 그라눌라투스 (Coelacanth granulatus)

총기류 (나뭇잎처럼 생긴 지느러미가 있는 물고기)로 

지느러미에 살이 많고 두툼해 '육기류'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1938년, 코트니-래티머는 스미스 교수에게 

실러캔스의 그림이 담긴 편지를 보냅니다.


"머리는 뼈처럼 단단한 판

비늘은 단단하고 갑옷처럼 덮여 있어 마치 상자와 같음

작은 이빨이 단단한 주둥이 언저리에 흩어져 나 있음

색깔은 진한 회흑색으로 일정함.

......"


그리고 1939년, 멸종되었다고 생각했던 실러캔스에 대한 이야기가 

세상에 나오게 됩니다.

1939년, 멸종되었다고 생각했던 실러캔스에 대한 이야기로 스미스 교수는  

세계적인 학자가 됩니다.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20세기 박물학계에서 가장 경이로운 현상 한 가지'

<런던 타임즈>

<네이처> 

'중생대 유형의 살아 있는 물고기'

......

물론, 표본 관리사! 코트니-래티머가 없었다면

 이런 놀라운 일들은 없었겠지요.



그리고, 1952년! 살아 있는 화석 '실러캔스' 에 대한 열정은 식지 않았는데요.

그 열정이 결실이 드디어 얻게 되는데요.

코모로 제도에서 모하메드에 의해 

그리고 헌트 선장에 이어 스미스 교수에게 전달됩니다.

물론 이 과정이 그리 순탄 하지 않았는데요.

모두의 노력으로 결실을 보게 되었습니다.

포르말린이 없어서 첫 발견된 실러캔스가 보존되지 못했기에 

두번째 실러캔스의 발견은 더더욱 사람들의 마음을 설레이게  했을 것 같습니다.


<실러캔스의 비밀>은 그 동안 말로만 듣던 

실러캔스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말끔하게 해소해 주는데요.

역사적인 살아있는 화석! 실러캔스가 궁금하신가요?

<실러캔스의 비밀>을 추천합니다.

<출판자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