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갈등은 왜 생길까? ㅣ 우리 사회를 바라보는 올바른 시선 1
조항록 지음 / 주니어아라크네 / 2021년 8월
평점 :
우리 사회를 바라보는 올바른 시선 1
<갈등은 왜 생길까>

어린이를 위한 성장에 좋은 길잡이가 되어 줄 도서!
조항록 작가가 전하는 <갈등은 왜 생길까>
인간은 사회적 동물입니다.
당연히 혼자가 아닌
다른 사람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갑니다.
그런 사회 속에서 서로 소통하며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한 이야기들!
<갈등은 왜 생길까>에서는
우리 사회에게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 14가지를 담았는데요.
<갈등은 왜 생길까>을 읽으며
갈등 보다는 그 갈등을 해결하고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부자와 서민!
앤드루 카네기는 "홀로 모든 것을 이뤄 낼 수는 없다.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부자로 만들어야,
당신도 부자가 될 수 있다."라는 말을 했는데요.
언제 부터 인지 알 수는 없지만,
'금수저', ' 흙수저' 라는 말은 이제 우리의 일상에서는 흔한 단어입니다.
태어나면서 부터 자신의 노력과는 상관없이 부모의 능력에 의해
갈라진 삶을 잘 대변해 주는데요.
개인의 재능과 노력이 제대로 인정된다면
이런 말이 나왔을까요?
점점 더 심해지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
어떻게 하면 나아질 수 있을까요?
조선 시대 경주에 살고 있는 최씨 가문은 300년 동안 큰 부를 누리며 살았습니다.
사람들은 '최 부자 집' 이라고 불렀는데요.
'최 부자 집'은 어떻게 이런 큰 부와 명성을 얻었을까요?
'최 부자 집'에는 대대로 지켜온 6가지 가르침이 있다고 하는데요.
1. 진사 이상의 벼슬을 갖지 마라.
( 부를 바탕으로 권력까지 탐하는 것을 경계하는 마음가짐)
2. 재산은 만 석 이상 모으지 마라.
(지나친 재물 욕심을 버려라.)
3. 흉년에는 재산을 늘리지 마라.
(남을 이용해 욕심을 채우려 들지 말라는 경고)
4. 손님을 잘 대접하라.
(다른 사람들과 맺은 인연을 소홀히 하지 말라.)
5. 사방 100리 안에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
(이웃의 어려움을 모른 척 하지 말라.)
6. 최씨 가문의 며느리들은 시집온 후 3년 동안 무명옷을 입게 하라.
(가문의 모든 사람이 검소한 생활 방식을 몸에 익혀라.)
이렇게 '최 부자 집'처럼 살아간다면
지금보다는 조금 더 따듯한 사회, 살기 좋은 사회가 되었을 것 같은데요.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물론 가난은 나라도 구제할 수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회 복지제도를 통한 기초 생활의 보장은
어쩌면 우리 사회가 해야할 마땅한 배려는 아닐까요?

<갈등은 왜 생길까>을 읽다보면
우리 사회가 앉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을 발견하게 됩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단일민족과 다민족
기성세대와 신세대, 노동자와 자본가. 여성과 남성,
개발주의와 환경주의까지.....
이 많은 갈등 속에서 우리는 어떤 해결책을 찾아 볼 수 있을까요?
<갈등은 왜 생길까>에는
우리 사회에 일어나는 갈등과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는데요.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 속에서
그리고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사회가 더 아름다운 사회!
살맛나는 곳이기를 바라며
함께 웃으며 살아가고 싶어집니다.
그러기 위한 우리의 선택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갈등은 왜 생길까>에서
갈등 보다는 희망과 조화로운 사회를 기대해 봅니다.
<출판사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