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집에 가기 싫어요
소년사진신문사 지음, 강물결 엮음, 기타하라 아스카 그림, 가와사키 후미히코 감수 / 다봄 / 2021년 4월
평점 :
< 나는 집에 가기 싫어요 >

아이들에게 집은 어떤 곳일까요?
우리 집 귀요미들에 집은 어떤 곳이냐고 물어 보았습니다.
우리에게 소중하고
편안하게 지낼 수 있는 장소!
내가 사랑하는 집!
내가 좋아하는 집!
아마~ 대부분 사람들에겐 집이란 안식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처음 < 나는 집에 가기 싫어요 >라는 제목을 접했을 때
무섭고 걱정스러운 마음이 덜컥! 들었습니다.
두 남매와 비슷한 또래의 아이가 해가 지는
노을녁에 놀이터 미끄럼틀 위에 혼자 앉아 있는 모습은
가슴 한 구석 걱정과 안타까움을 느끼게 합니다.
아이는 < 나는 집에 가기 싫어요 >를 읽고는
"엄마 슬픈 책이야." 하더라고요~
왜 아이가 이렇게 말하게 되었는지
< 나는 집에 가기 싫어요 >를 보면서 살펴 볼까요?
코로나 이후, 뉴스에 많이 이슈화되는 내용 중 하나는
가정 폭력과 갈 곳 없는 아이들!
학대피해아동 보호 시설 (쉼터)의 부족! 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
안전하지 않은 가정에서
아이들은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사회는 이 아이들을 위해서 어떤 역할이 필요할까요?

소외된 아이들에게
누군가의 손길은 참으로 고맙고 소중한 일입니다.
" 아이들은 괴로우면 괴롭다고 말해도 돼.
힘들 땐 도와 달라고 말해도 돼.
또 싫은 건 싫다고 말해도 돼. 다 괜찮아."
동네 아주머니의 작은 관심과 손길이
아이와 아이 가족의 삶을 바꾸는 계기가 되는데요.
우리 아이의 얼굴에 번지는 미소~~
우리의 가슴을 따듯하게 합니다.
그리고 내 아이는 물론 모든 아이들이
이렇게 환하게 웃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기쁨은 나누면 배가 되고 슬픔은 나누면 반이 된다고 합니다.
함께 소통하며 살아가는 사회!
마땅히 보장 받아야 하는 아이들의 인권!이 지켜지는 사회!
우리가 함께 만들어 가요~~
<출판사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