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음부터 물리가 이렇게 쉬웠다면 ㅣ 처음부터 과학이 이렇게 쉬웠다면 시리즈 2
사마키 다케오 지음, 신희원 옮김, 강남화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21년 2월
평점 :
<처음부터 물리가 이렇게 쉬웠다면>

사마키 다케오가 들려주는 흥미진진한 과학 이야기
<처음부터 물리가 이렇게 쉬웠다면>와 함께
즐겁고 재미있는 과학 세상으로 떠나 볼까요?
<처음부터 물리가 이렇게 쉬웠다면>는
<처음부터 화학이 이렇게 쉬웠다면> 과 함께
과학에 대한 기본 원리를
자세히 설명해 주는데요.
읽다 보면 저절로 과학의 세계로 빠져들게 됩니다.
<처음부터 물리가 이렇게 쉬웠다면>로
흥미로운 물리의 세계로 빠져 볼까요?
빛과 소리에 대한 이야기
힘의 작용과 반작용, 에너지에 대한 이야기
온도와 열에 대한 이야기
전류와 전압, 저항까지
물리에 대한 모든 이야기가
이 한 권에 소개되어 있답니다.
물리에서 빛을 빼놓고는 이야기 할 수 없는데요.
사실 우리가 보는 빛은 가시광선입니다.
물체에서 나오는 빛이 우리 눈에 들어 오지 않는다면
우리는 물체를 볼 수 없습니다.
어둠 속에서 아무 것도 볼 수 없는 것처럼 말이지요.
즉, 우리는 빛이 반사됨으로써 사물을 보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태양은 자연계에 중요한 광원이라고 할 수 있답니다.
광원! 스스로 빛을 내는 물체!
<처음부터 물리가 이렇게 쉬웠다면> 를 읽다 보면
우리가 그 동안 궁금했던 사실들에 대한 원리를 배울 수 있는데요.
그림자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빛의 성질 때문입니다.
"빛은 직진한다."
빛이 똑바로 뻗어가기 때문에 그림자가 생긴다고 합니다.
광선! 빛이 나가는 진로!
난반사! 각 부분에서 제각각 반사 법칙이 일어나다 보니
물체 전체로 보면 빛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는데
이런 현상을 난반사라고 한다.
이런 난반사 덕분에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이라고 하네요.
물리를 배우면서 용어에 대한 이해와 해석이 절실한데요.
야옹군과 박사님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들으니
이해가 척척~ 쏙쏙 되네요~
빛의 또 다른 성질! 굴절!
굴절은 빛이 조금이라고 빨리 목적지로 가려고
지름길 방향으로 꺾이는 원리입니다.
빛의 산란!
빛이 공기 중의 분자나 미립자에 닿아
사방으로 재방출되는 현상!
빛의 산란을 이야기하면
해질 녁의 붉은 노을이 생각나는데요.
낮에는 파장이 짧아 산란이 잘 일어나는
보라에서 파랑까지의 색이 산란하고
저녁이 되면 빛이 대기를 통과하는 거리가 멀어지면서
파장이 짧은 빛들이 대기에 도달하지 못하고
파장이 긴 빨간색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일상생활의 모든 것이 다~과학이네요.
<처음부터 물리가 이렇게 쉬웠다면>로
이제 물리에 대한 걱정은 NO!
즐거운 물리 시간이 시작됩니다.
<출판사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