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그릇 - 내 아이의 잠재력을 찾아주는 기질의 힘
이정화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아이의 잠재력을 찾아주는 기질의 힘

<아이의 그릇>


" 우리 아이는 소심한 아이일까. 신중한 아이일까?"

책 표지에 나오는 이 문구를 보고 

신중함이 지나쳐 소심해 보이는 아이의 모습이 생각납니다.


생각이란! 같은 것을 보고도 전혀 다르게 해석 할 수 있는 것인데.

육아라는 이름! 

내 자식이라는 이름 하에 

자꾸 중요한 무엇인가를 놓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책 표지를 보더니

엄마 선물이라며 이쁜 그릇 세트를 선물로 주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우리 아이의 그릇입니다.

한국아동심리코칭센터장! 이정화 작가는

아이들은 씨앗과 같다고 했습니다.

모든 꽃에 똑같이 물을 주어도 어떤 꽃은 싱싱하게 자라고

어떤 꽃은 물을 머금고 죽기도 한다고 합니다.

모든 식물이 각각 다른 빛과 물, 온도가 필요하듯이 

아이들도 타고난 기질에 따라 

필요로 하는 교육 방식이 다르다고 하는데요.


아이와 나를 위한 <아이의 그릇> 함께 살펴 볼까요?



 <아이의 그릇>의 목차를 보며 

아이와 나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아이의 기질이 이렇게 다를 수 있을지~

두 남매를 키우는데,

둘이 다르다는 생각만 했지 

같은 행동, 다른 생각을 하고 있을지 짐작도 못했는데~

책을 읽으며 반성하게 되네요~~

공감! 공감! 하면서 정작 제대로 된 공감을 못해 준 것 같네요.




우리는 흔히 사람은 달라지지 않는다,

 고쳐 쓰지 않는 다는 말을 합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했는데요.


역지사지가 아닌 소통!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됩니다.

판단과 평가가 포함되지 않은 수용!

상대를 교정하려 하거나 통제 하에 두려고 하면

 수용은 결코 일어날 수 없다고 하는데요. 

아이와의 진정한 소통을 위해 필요한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를 키우면서 제일 고민인 것이

분노 조절입니다.

엄마인 저조차도 배워야 하는 '화'라는 감정 조절인데요.


오랜만에 줄까지 치면서 읽게 되네요.

두 아이마다 다른 일로 화를 내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는데요.

사회적 뇌 유형의 아이와 개념 뇌 유형의 아이에게

분노의 원인이 이렇게 다르다니 놀랍기만 합니다.

 10년 육아를 하면서 내가 정작 놓치고 있던 것들을 

코칭해 주는 최고의 육아 코칭 도서네요.


아이와 나를 위한 <아이의 그릇>으로

집안의 분위기, 나의 양육 태도를 배워 볼까 합니다.


지금 육아에 지친 엄마에게 힘이 되어 줄 것 같네요.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