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침묵의 절규
하마나카 아키 지음, 김혜영 옮김 / 문학사상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어느 날, 맨션 주인에게서 맨션에 변사체가 있다는 신고가 들어온다. 현장에 나간 형사 아야노와 수사관들은 시체를 발견하는데, 이미 애완고양이에게 뜯어 먹혀 백골만 남은 상태. 사건 정황상 고독사 중 하나일 거라고 추측하고, 수사를 종결하려던 담당 수사관 아야노는 관련 서류를 살펴볼수록 석연치 않은 구석이 많다는 점을 깨닫는다.
그리고 그곳에서 발견된 정황상 발견된 시체의 신원은 '스즈키 요코'라는 여자..
경찰관인 아야노의 시점과 요코가 아닌 2인칭 서술에서의 서술이 번갈아 가면서 나온다.
책 뒷면의 작품해설을 보기 전까지는 요코의 일생을 보여주는 그 시점이 2인칭 서술인지 몰랐다 그저 '요코 너는 ~~했었지'이런 식의 문체가 신기했을 따름이였다
꼭 누군가가 요코에서 쓴 편지를 읽고 있는 기분이 드는 기분으로 읽었다.
요코의 일생을 그리고 그녀의 삶에서 일어났던 일들을 따라가면 읽어나가도
쫓고 쫓기는 그런 전개는 없어도 아야노가 그녀의 일생을 따라가는 개인적으로 추격전이 아님에도 숨막히는 전개는 아마 그녀의 삶이 같은 여자로써 감정이입되어서 그런게 아닐까 싶다.
보수적인 나로썬 그녀의 직업이 그녀가 어쩔 수 없이 흘러들어간 직장이겠지만 그 마지막 직장은 이해할 수 없지만 전반적인 그녀의 일생은 안타깝기 그지 없었다.
그리고 아야노의 삶도..
전반적인 주인공과 극의 중심은 요코였지만 아야노의 이야기도 잠깐씩 들려주는걸 보면 그리고 아야노의 삶도 그렇게 평탄치만은 않았다는걸 보면 어쩌면 서로 살아온 방식도 그리고 현재도 앞으로의 미래도 다른 두 사람이지만 이 두 사람의 마음속의 아픔,그리고 짊어져야 할 무게를 보여줌으로 써 드러내지 못하는 그런 아픔을 표현한게 아닌가 싶다.
난 그렇게 생각한다. 그래서 제목도 '침묵의 절규'가 아닌가 싶다.
어쩌면 이 두사람의 삶이 우리내 삶과 닮아 있을지도 모른다 생각했다.
물론 사는 방식도 앞으로의 미래도 과거도 현재도 다르겠지만 어쩔 수 없이,내 마음과 다르게, 말하지 못하는 상처,아픔,그리고 기대고 싶은 마음...
그런 모든걸 포함해 닮지 않았을 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