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괴담의 집 ㅣ 스토리콜렉터 33
미쓰다 신조 지음, 현정수 옮김 / 북로드 / 2015년 7월
평점 :

5가지의 괴담이야기
집을 소재로 하며 시대도 제각각이고 그 괴기를 경험하는 사람의 연령.성별도
제각각인 5가지의 소재를 만나볼수 있다.
호러 작가와 그를 좋아하는 한 편집자의 만남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내가 느끼기엔 호러 작가는 미쓰다 신조를 나타내는거 같고,소설을 빙자한 실제 경험인 괴담을 묶어 놓은 책처럼 느낌을 강하게 받으면서
읽었다.
그의 책들을 읽으면서 매번 강하게 드는 궁금점은 진짜 이건 소설인가 아니면 경험담인가 그게 제일 궁금하다.
몇개의 괴담이 끝나면 편집자와 작가는 만나 이 괴담의 이야기를 한다.
중반쯤 읽어가면서 두 사람이 결말에 이르러 나타낸 도출에 어느정도 감을 잡고 내 생각이 들어맞았음을 느꼈을땐 역시!라며 즐거워
했다.
그러나 그런 기분을 느끼기전 역시 그의 책은 나를 섬뜻섬뜻하게 그게 낮이던 밤이던 해가 있던 없던
등골이 서늘하게 가슴을 덜컹하게 하는 묘한 공포스러움을 느끼게 해줬다.
그의 책을 좋아하는 이유도 이런 이유중에 하나이다.
공포에 집착하거나 또 반대로 좀 부족해도 너무 이상하기만 하고 정작 무섭지도 않는 그런 문제점이 있는데 신조의 책들은 과하지도 덜하지도
않는걸 느낄 수 있다.
그 이유가 이렇게 영상으로 보지 않고 글로 읽음에도 공포스러움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인것 같다
그런 느낌을 또 느끼고 싶어 일본 다른 작가의 괴담소설을 읽어 봤으나 앞에서 말한것처럼 무섭지도 않고 이상하기만 한 느낌을 받았다.
그 뒤로 부터 나의 넘버원 작가간 된 미쓰다 신조이다.
다시 책의 내용으로 돌아와서 이야기를 하자면
괴이스럽고 섬뜩한 그의 괴담의 집 앞에서 이 소설에 어쩌면 중요한 포인트가 될 수 있는 그런것이
책을 읽던 도중 내방에 있는지 봤으나
아쉽게도 없었다.
편집자가 써본 방법을 나도 써봐야 하는건가?
그것이 없는 내방에서 난
'그것'을 만나게 될까?
별로 만나고 싶진 않은데..
오늘 밤 무사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