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새 함께 늙어가는 사이가 된 왕가위.

아마 내가 전 작품을 모두 본 몇 안되는 감독 중 하나인 거 같다.

청춘의 아이콘이라고 여겨졌던 그가 자신의 작품 인생을 회고 하는 것을 보니 새삼 그도 클래식이 되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왕가위 작품 중 경외해 마지 않는 아비정전, 동사서독, 해피투게더도 작품을 쭉 나열해 놓고 보니 초기작으로 분류되는 것도 알겠다.

오랜 기간 그의 작품을 따라가며 그의 머리 속을 탐험하는 여행을 해온 터라 이 인터뷰집이 새로운 사실을 깨닫게 해주었다고 할 수는 없지만 두 가지 점에서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서양음악을 즐겨 삽입하고 평범한 거리를 영화적으로 만드는 능수능란한 기술을 가진 이 감독이 생각보다 훨씬 더 동양인 특유의 가족적인 사고방식으로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신뢰하는 배우를 계속적으로 반복해서 여러 작품에 기용하는 것을 보면 그가 이성적임과 동시에 정서적인 측면의 연결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을 어느 정도는 눈치채고 있었지만 말이다.

타락천사의 이가흔과 여명이 그와 한 작품 밖에 하지 못한 것도, 타락천사가 왜곡되고 과장된 영상으로 점철된 것도 그와 배우들이 정서적인 신뢰가 완성되지 못했기 때문에 나온 뜻밖의 수확(?)이었던 것도 재미있는 에피소드 였다.

그의 작품에서 배우들이 특히 아름답게 나오는 이유는 그가 그 배우들을 사랑하기 때문이라고 하던데.... 기괴한 줌인으로 가득찬 영상을 보면서 이가흔과 여명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두 번째 흥미로운 점은 그가 걸음걸이에 집착한다는 점이다. 스크린의 화면은 배우의 몸 전체를 보여주기 때문에 배우의 몸, 특히 걸음걸이가 캐릭터를 보여준다.

그래서 왕가위는 첫 촬영에서 배우에게 걸어보라고 시킨다고 한다. 그 걸음걸이가 그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점을 자극시킨다고 한다면 그는 과감하게 배우의 걸음걸이에 맞추어 작품의 내용과 대사, 캐릭터의 설정을 바꾼다.

일부 배우와 스텝들이 속 터져 하는 즉흥 연출은 이렇게 시작된 것이다.

그래서 뻣뻣하거나 기성상품 같은 연기를 흉내내는 배우를 만날 때 그는 매우 난감해진다.

그리고 이 예로 그는 또 이가흔과 여명을 거론하다.

타락천사가 가장 실패한 영화가 아니었음에도 불가하고 그에게 그 두 배우에 대한 평가는 가혹하다. 심지어 “너무 매력적”이기 때문이라는 이유를 대기는 했지만 과거로 돌아가 캐스팅을 바꿀 수 있다면 바꾸고 싶다고도 한다.

암튼 배우의 신체를 포착하고 이를 담아내는데 그가 이렇게 집착하는 감독이라는 것을 새삼깨달았다.

그러고 보면 그의 영화에서 가장 인상깊는 장면은 바로 인물들이 걷고 있는 때이다. 인물의 캐릭터가 신체를 통해 형상화 되는 순간이다.

이 두껍고 무거운 인터뷰집은 왕가위의 팬이라면 반드시 소장해야 하는 아이템이다. 아마 이 인터뷰집을 통해 당신이 그의 영화를 통해 인지하게 되었던 실타래의 다른 한 쪽을 그가 잡고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