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결혼과 섹스는 충돌할까 - 현대 성생활의 기원과 위험한 진실
크리스토퍼 라이언 & 카실다 제타 지음, 김해식 옮김 / 행복포럼 / 2011년 4월
평점 :
아, 이 책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싶다.
사실 개인적인 서평이니 개인의 생각을 적고자 한다.
결론은 난 이 책의 내용에 감정적으로도 좀 역겨움이 생겼고,
주장하는 부분에도 동의가 생기지 않는 부분이 좀 있다.
이 책은 보수적인 종교계에게 섹스는 그 성격상 보수적으로
잠궈둬서는 안된다고 말한다.
그들이 말하듯 세계에는 각자의 문화가 같지 않는 것이 있듯이
성에 대해서도 그런 이해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사실 그 비유는 적절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예를들어 부부관계는 오픈해서 대중이 나누어야할 대화 내용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부부사이에 나누어야 할 부부관계가 폐쇄되어야
한다는 말이 아니라, 부부관계의 깊은 카타르시스는 둘이서 표현하며
나누는데 있다고 생각이 든다.
해소가 안되었기 때문에 이웃집 아줌마나, 회사 동료와 대화를 한다고도
생각된다.
또한가지 o양 비디오, 요즘 잇슈가 되는 a양 비디오는 그 폭로가 정상적인
부분이 아니기에 우리에게 자극적 호기심을 유발하는 것이지 그것이 정상
이라고 말하는 것은 옳지 않다.
다만, 100% 부부문제등에 대해 의사와 상담을 한다든가, 부부 둘 사이에서도
쉬쉬하는 그런 부분은 나도 동의하지 않는다.
둘만의 건강한 대화와 표현 그리고 섹스가 있음으로 결혼은 더욱 행복해 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는 인간은 다윈의 진화론에서 처럼 종교에서 말하는 창조론이 아닌 진화론을
기본 인식 속에 인간의 성 또한 일부일처제가 아닌 다부, 다처제 여야 한다고
말한다. 아직은 그들의 말에 이해도가 쉽지 않다.
성은 점점 개방화 되었다. 성범죄도 늘어가고, 사회적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비유가 맞을 지는 모르지만, 섹스는 단순한 쾌락의 문제만도 아니고, 자녀
생산의 문제만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난 그들의 합체가 섹스이다라고 생각한다. 그 인식 속에 섹스를 고귀하게, 소중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구성애 선생님의 강의가 생각난다. 내 성을 소중히 여길 줄 알아야 하고, 그리고
즐길 줄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즐길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 자기를 버려서(?)면서까지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도 섹스와 결혼에 대한 문제는 점점 안좋은 상황으로 치달을 것
으로 보여진다. 꼭 인간복제의 문제처럼 인간복제가 어디까지가 필요한가의 문제와
그 인류의 소중한 인간성을 소중히 하는 부분과 그런 것들을 무시하고 악용하는 부분들
속에 우리는 큰 혼란을 겪게 될 것이다.
무엇이 옳은가 우리를 소중히 하지 않는 결혼과 섹스는 병폐를 낳을 것이라 생각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