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한 남자와 여자가 운명적으로 만나 사랑의 절정, 권태, 이별 후 다시 새로운 사랑을 하게 되는 진부하고 뻔한 서사과정을 담고 있는 책.

하지만 그 뻔하디 뻔한 서사과정에 핵심이 있는 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참신하고 독특한 철학적 고민들,철학적이면서도 문장 하나하나에서 느껴지는 작가의 위트가 이 책을, 그리고 이 보통이 아닌 보통이라는 직가를 사랑받게 해 주는 요인이다.

정말이지 `사랑`이라는 감성적인 소재를 철학,미학,정치학과 같은 이성적인 소재로 풀어내는 작가의 지성과 필력과 재기발랄함에 읽는 내내 밑줄치며, 인덱스를 붙이며, 모르는 내용은 찾아가며 읽게 되는 책이었다.







우리는 우리가 사랑하게 된 사람이 누구인지 잘 모르는 상태에서 사랑에 빠질 수밖에 없는 것 같다.
최초의 꿈틀거림은 필연적으로 무지에 근거할 수밖에 없다.

우리의 머뭇거림은 하나의 게임이었다.
그러나 진지하고 유용한 게임이었다.

나는 다른 사람에게 끌리는 것은
곧 나의 개인적 특징들을 버리는 것이라고 결론내렸다.

가장 매력적인 사람은 희망과 절망의 양을 적절하게 안배하여 상대의 마음에 안겨줄 줄 아는 사람이다.


나는 아름다움의 객관적 기준이라는 플라톤적 관념을 배격하고, 대신 미학적 판단은 ˝결정 근거가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은 칸트의 `판단력비판`에 니오는 견해에 동조할 수밖에 없었다.


라이트모티프들이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고 해도, 그것은 접착제 역할을 했다. 그 라이트모티프들이 만들어낸 친밀성의 언어는 그녀와 내가 둘이서 하나의 세계 비슷한 것을 창조했다는 사실을 기억나게 해 주었던 것이다.

사랑과 사랑의 정치의 시작이 똑같에 장밋빛이라면,
그 마지막도 똑같이 핏빛이다.

유머는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일어나는 짜증의 벽들을 따라서 늘어서 있었다. 농담 뒤에는 차이에 대한, 심지어 실망에 대한 경고가 있었다.그러나 그것은 이제 긴장이 완화된 차이였고, 따라서 상대를 학살할 필요 없이 넘어갈 수 있었다.


사랑의 요구가 해결되었다고 해서 늘 갈망의 요구까지 해결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나는 너를 사랑한다˝는 말은 늘 ˝지금˝ 그렇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야만 한다. 내 말은 시간의 구속을 받는 약속이었다.


우리는 공리주의자들처럼 사랑하며 시간을 보냈다. 침실에서 우리는 플라톤이나 칸트가 아니라 홉스와 벤담의 추종자였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종락 2016-06-06 09: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ㅡㅡㅋㅋㅋ국어쌤이다ㅋ

신선미 2016-06-06 09: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어제 술마실땐 국어쌤 아니었다죠 ㅋㅋㅋ

박종락 2016-06-06 09: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젠.. 그냥 지나가는 예쁘고 흥많은 아가씨로 하죠ㅋㅋㅋ

신선미 2016-06-06 09: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오 `예쁘고`에 별점 다섯개 ㅋㅋㅋㅋㅋㅋㅋㅋ강원도 잘 다녀와요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