믹스처 - 우리는 누구인가에 대한 고대 DNA의 대답
데이비드 라이크 지음, 김명주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20년 3월
평점 :
절판


우리는 누구인가에 대한 고대 DNA의 대답

한 종으로서 우리는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근본적인 탐구를 지고의 목표로 추구해야 하지 않을까? 계몽된 사회라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 또는 실용적인 이익이 없는 지적 활동이라 해도 가치 있게 여겨야 하지 않을까? 인류의 과거를 연구하는 것은 미술, 음악, 문학, 우주론을 연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그것은 인류가 공유하는 여러 측면, 엄청나게 중요하지만 지금까지는 상상도 못했던 측면을 자각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게놈(개인이 부모에게 물려받는 유전 부호 세트)

P145 예로부터 많은 학자들이 인종이라는 개념을 비판해왔지만 확실한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두지 않았다는 이유로 크게 주목을 끌지 못했다

1만 년 전에서 4000년 전 사이까지 서유라시아의 유전적 단층선이 지금과는 완전히 달랐다는 사실이 고대 DNA 혁명으로 증명되면서 인종이라는 지금의 분류는 생물학의 '순수한' 기본 단위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오늘날의 인종 분류는 최근의 현상으로, 그 기원은 반복적으로 일어난 교잡과 이주에 있다 고대 DNA 혁명으로 밝혀진 사실들은 교잡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임을 암시한다

유전자에 담긴 인류의 기원과 차별의 역사, 새로운 사실과 연구에 대해 생생하게 묘사했다
몇 만 년 전부터 계속된 반복적인 교잡의 역사는 우리 모두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미래에도 연결되어 있을 것임을 예언한다
고대 DNA로 보는 인류의 기원과 역사 매혹적이고 신비로운 이야기 속으로 빠지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