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장된 학교 - 한 사회학자의 한국교육의 패러다임에 대한 지적 성찰
김덕영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4년 9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한참 읽다보면, 왜 이렇게 다 아는 이야기를 계속해서 나열하고 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저자가 우리 국민을 교육의 전문가로 인정하면서 그 전문가들이 다 아는 이야기를 새삼스럽게 나열하고 있는 이유를 정확히 알 수 없다. 저자는 현실에 대한 비판에 따른 문제제기도 하나의 해결의 의의를 갖는다고 말하고 있는데, 새로운 것은 전혀 없다. 무엇을 어떻게 하자는 것일까? 사회학자라는 타이틀에 걸맞는 현상의 원인에 대한 치밀한 분석이 있는 것이 아니라, 현실의 부정적 측면의 나열에 치중한 듯한 느낌이다. 그냥 이정도는 교양 강의 정도에서 써먹지 왜 이렇게 두꺼운 책으로 만들어 놓았는지 아무래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 최준식의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라는 책을 보면, 우리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의 원인을 홉스테드의 이론에 기대어 분석하고 있다. 문제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원인에 대한 깊이 있는 천착이 드러난다. 그에 비해 이 책은 학자로서 원인에 대한 고민이 별로 보이지 않아 책을 읽으면서 오히려 답답함을 느끼게 한다.
이 책은 학교 교육의 문제점에서 출발해 우리 사회 전반의 문제를 시시콜콜히 나열하고 있다. 학교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서열화를 꼽고 있다. 입시를 통해 대학이 서열화됨에 따라 공교육이 부실화되며, 그로 인해 파벌이 확대 재생산되어 우리 나나라는 서울대의 나라가 되고 있다고 진단한다. 그러면서, 외국의 대학은 우리나라와 다르게 전문화, 특성화, 수평적인 관계를 유지한다고 비교하고 있다.
또한 우리 사회의 문제로 상하구조를 들고 있다. 이 상하구조가 학교의 서열화와 상호보완되어 우리나라의 여러 문제를 파생시키고 있다고 본다. 이러한 서열화와 상하구조는 개인적 자율성 성취를 가로막고 있어서 집단주의적이고 다른 이의 눈치만 보는 사람들을 양산하고, 창의적인 사고의 틀을 가로막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지적은 일견 정당하게 보인다. 그리고, 우리 모두가 인정하는 문제이다. 그런데, 뭐가 위장되어 있다는 것인지 알 수 없다. 위장이라는 것은 아닌 것을 그런 것 처럼 가리는 것을 의미하는 데, 도대체 이 학교가 무엇을 가리고 있는지를 이 책을 통해서는 이해할 수 없다.
그리고,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은 좋은데, 단순 나열을 통해 무엇을 어떻게 하자는 것인지 알 수 없다. 우리 나라의 전반적인 문제점을 지적하는 책은 아주 다양하다. 단지 그 다양성에 한 권을 더한다는 정도의 의미밖에는 찾을 수 없다. 최소한 학자라면 그러한 문제가 파생된 원인에 대한 깊이 있는 진단이 필수적인 요소가 아닐까? 최소한 원인을 진단해 줘야 책을 읽는 우리가 앞으로 해야될 일을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이 책을 읽으면서, 이제는 학교에서 어떻게 가르칠까가 아니라 무엇을 가르칠까를 고민해야 된다. 현재 고민의 부재 시대에 현실에 안주하고 매몰되어 있는 현실에서 근본적인 교육의 관점을 가져야 할 것이다. 다양성이 인정되어야 할 것이며, 개인적인 자율성이 확대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교현장에서 평가의 잣대가 다양화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것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교육의 관점에서 다시 고민을 시작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