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존 그레이 지음, 김경숙 옮김 / 동녘라이프(친구미디어) / 2002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으면서 계속 떠오르는 우스개 이야기가 있다. 경상도 남자와 여자가 연애시에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다. 여자왈 '달도 참 밝지예?' 남자왈 '이 문디 가시나가 달 밝은 거 누가 모르나!!!!' 이 농담이 바로 남녀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그 차이를 차근차근 설명해 준다. 요약하자면, 남자는 타인의 인정을 받기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활동과 사고 자체가 정보지향적이고, 해결지향적으로 나타나며, 여자는 타인의 사랑을 받기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감정교류와 공감적 관계를 가지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서로의 차이때문에 다양한 갈등이 일어나며 서로간의 대화가 단절된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 책의 말대로 그러한 차이를 알고 그 부분을 상대에게 배려한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인가? 그건 아닌 것 같다. 끊임없이 아내나 남편이 한 말을 다시 재해석하고 그것을 배려하고 생각해보고 행동하고 나 같으면 신경이 곤두서서 한 두주 하다가 폭발할 것 같은 심정이 이 책 읽는 내내 들었다.

이 책은 너무나 부부사이의 표피적인 부분만을 분석하고 해석한 내용이다. 그렇게 우리의 사고 방식과 행동 방식이 결정된 본질은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왜 나의 삶이 그렇게 만들어졌을까에 대해서는 이야기 하고 있지 않다. 그냥 남자와 여자의 차이는 이러하니까 서로를 잘 이해하고 배려하면 행복한 생활을 누릴수 있다고 계속 반복 주장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남녀의 차이라고 이야기 하고 있지만 사람 모두를 그렇게 유형화할 수는 없다. 남자라고 감정교류와 공감적 관계를 원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여자라고 정보적이고 해결지향적이 아니라고 말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렇게 이 책과 다른 유형을 지닌 사람 사이에는 어떻게 갈등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인가?

여기서, 우리는 우리의 이러한 삶의 방식이 나타난 근원적인 부분을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래리 크랩은 성경적 상담학이라는 책에서 이 답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갈등을 일으키는 것은 우리가 가진 부정적 신념들이며 이러한 부정적 신념은 우리가 사랑받지 못하고, 인정받지 못하는 존재라는 무가치감과 열등감에 사로잡힌 결과들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무가치감과 열등감은 나의 생활 속에 나타난 부정적 경험과 관련되어서 강화되고 신념화되어 나의 현재 생활을 지배하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삶속에서 이러한 부정적 신념들을 변화시킬 때 갈등의 문제가 해결될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이 비록 삶의 표피적인 부분을 다루고 있지만, 삶을 여유롭게 만드는 몇가지 긍정적인 적용 부분들을 생각하게 한다. 다음은 이 책을 읽으면서 나의 생활에 접목된 다섯가지 실천 방법이다.

첫째, 상대방의 상황이나 생각을 넘겨짚지(미루어 추측하지) 말아야 한다. 상대방의 하는 모든 행위가 나와 관련되어 있다고 말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둘째, 상황을 절대화하지 말아야 한다. 반드시 -- 해야 한다라고는 생각하지 말과 하면 지금보다 좀 더 나아질거야 정도로 생각한다. 반드시라고 생각한다면 조금이라도 미흡하면 실패한 것이기 때문에, 또 완전히 달성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기에 실패감의 연속일 것이다.
셋째, 내가 행복하기 위해서 아내(남편)이 바뀌어야 되는 것이 아니라 내가 가정을 행복하게 하기 위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다.
네째, 항상 대화의 시작은 자신의 감정과 생활에 대한 것이어야 한다. 상대방에게 질책의 화살을 돌리지 않아야 한다.
다섯째, 서로가 행복해지기를 바라고 있고, 상대방이 행복한 모습을 보는 것이 서로의 행복임을 기억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