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이화의 한국사 이야기 1 - 우리민족은 어떻게 형성되었나 이이화의 한국사 이야기 1
이이화 지음 / 한길사 / 199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학교에서 배우는 역사는 왕조사 중심이며, 누가 언제 우리민족을 침입했고, 그것을 어떻게 극복했느냐가 중심이었다. 그리고 그런 일이 일어난 원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정도가 좀더 나은 수준의 역사 공부였다. 그리고, 고조선에서 위만조선,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 고려, 조선, 그리고 지금에 이르는 개략적인 그리고, 정통이라고 생각되는 나열식 중심의 역사 지식 제공에 불과했다.

이 책은 신화와 전설을 역사의 시각에서 해석하고, 그 결과를 역사에 다시 반영하고 있다. 이제껏 왕(정치세력)중심의 역사만 보고 있다가 신화와 전설에 반영된 백성들의 삶의 양상을 추적할 수 있는 단서를 제시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새로운 시각이다. 무엇을 바라보아야 하는가? 왜 바라보아야 하는가?를 우리는 역사를 볼 때 먼저 생각해야 될 것이다. 단순한 지식적인 차원에서 역사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이 민족이 왜 존재하게 되었으며, 그 시작과 끝은 어떻게 될 것인지를 고민하는 자리가 바로 역사를 보는 자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한가지 재미있었던 것이 있었다. 인류의 발생과 발전이 기존의 진화론적인 시각에서 서술되고 있었는데 부분적으로 작자인 이이화는 조물주를 상정하고 있었다. 약간의 모순성은 보이지만 그 나름의 생활속에서 나오는 삶을 볼 수 있어 좋았다. 민중의 생활을 담으려고 많은 노력을 하였지만 다른 역사서보다 좀더 많은 내용을 담고, 상세했을 뿐이었다. 그것은 작가의 역량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너무나 제한된 자료를 바탕으로 역사를 기술하다보니 그럴수 밖에 없으리라 생각된다. 그러기 때문에 뒤 시대로 올수록 책의 권수가 늘어난다.

어쨋든 들고있으면 재미가 나는 역사책이다. 역사가 진부하고 고루한 영역이라고 생각하던 것을 벗어나 소설처럼 읽히는 역사책을 보고 있으니 새삼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