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20분 초등 고전 읽기 - 초등 3, 4학년에 시작하는
이아영 지음 / 비타북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 3, 4학년에 시작하는

하루 20분 초등 고전 읽기

이아영 

 



고전이라고 하면 먼저 어렵고 딱딱한 책이라고들 생각하시죠?

저 역시 그런 생각을 하고 있어서 아이들에게 선뜻 추천을 하지 않게 되었지만,

<하루20분 초등고전읽기>를 통해  매일 꾸준히

아이들에게 고전읽기를 해 줘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맘 먹게 되었어요

이 책을 읽기전에도 저 스스로 아이들 잠자리 독서로 탈무드를 읽어주곤했었어요

그런데, 요즘에는 탈무드와 사자소학도 한편씩 아이들과 읽으면서 대화를 나누기 시작했어요,

무엇보다

고전이 아이들의 인성에도 큰 도움이 되니

꼭 읽혀야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죠.

그럼, 어려운 고전,

아이들에게 어떻게 읽혀야할까요?

 

이 책의 저자는 사서로 지냈을때,

아이들의 독서의 중요성을 심어주시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 오신 내용이 담겨있고,

인문고전 독서동아리 활동을 통해

가족이 함께 고전읽기 독서를하면서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어요.

고전을 읽는다 하면, 왜 그리 거창해 보일까요?

하지만, 어렵게 생각하지 않고 쉽게 접근.

 

책을 싫어하는 아이들에게도 책을 가깝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밥상머리 독서교육.

자연스럽게 식사를 하면서 책의 이야기를 주고 받으면서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기 시작하면서

가족과 함께 독서토론도 하게 되면서

독서습관도 자리 잡게 되는거죠.


우리나라 아이들은 논술 점수를 위래 학원을 다니는데, 그건 바로 스킬을 배울뿐,

좀 더 틀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나의 생각과 느낌을 말해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가족이 함께 독서하면서 대화를 나누는 것이 아닌가 싶네요.

너무 수능을 위한 목적으로 독서를 하기보다는

내가 왜 독서를 해야하는지 독서의 흥미를 먼저 갖는것이 우선이 아닐까 싶네요.

서술형 평가를 위해서라도 문제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해력, 독해력 실력이 필요하겠죠?

그건 바로 독서 기초에서 시작되는 것이지요.

고전을 왜 읽어야하는가?

고전은 인간의 삶과 역사, 문화, 가치를 다루고 있으며, 교육 목표 또한 인간성의 고양에 두고

동양고전은 유교 및 불교의 영향으로 도덕 관련 내용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요.

특히, 동양고전 <논어>는 배움의 즐거움, 바르게 사는법, 근면하고 청빈한 삶의 자세를

엿볼 수 있기에

고전이 인성교육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수 있어요,

 

그럼, 고전을 어떻게 읽어야할까요?

하루 20분 고전 읽기로 도전을 해볼 수 있어요

매일 1편씩 천천히 읽기

마음에 와 닿는 구절 반복 읽기

나만의 필사 노트 만들기

내 생각을 말하기


 

1편씩이라 분량이 짧고 끊어 읽어 읽기 좋으며,

한자를 통해 어휘력 향상도 높힐 수 있지요.

또한, 한번으로 읽고 끝내는 것이 아닌

여러번 읽어나가면서

그 뜻을 스스로 찾아가면서

질문도 하고, 함께 이야기를 해 나가면서

집중력과 상상력도 키울수 있는거 같아요,.

 

 책속에서 고전읽기의 길잡이가 잘 되어 있으니,

지금부터라도 내 아이를 위해

고전읽기를 시작해보시는건 어떨까요?

초2,초4남매를 위해 전 어린이 사자소학을 먼저 시작하고 있어요.

우선 처음에는 가볍게 읽는정도로 하고 있어요.

고전은 이런거구나 하면서 맛보기를 보여주고,

그런 후에 책에서 알려주신 대로

하루20분 고전읽기 방법대로

온가족이 함께 해나려고요.

 

올 연말에 우리가족의 달라진 모습을 기대해도 될거 같아요.^^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