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랑 놀기 싫어요 - 우정 사회성을 키우는 감정 수업 2
파키타 지음, 마리그리부이유 그림, 양아름 옮김 / 풀빛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성을 키우는 감정수업 시리즈의 특징

1. 유치원에서 흔히 일어나는 상황을 다루었어요.

​2. 여러상황에 대한 아이들의 다양한 감정과 생각을 알수 있어요.

3.다른 아이들의 의견을 들으며 남을 이해할 수 있어요.

4.아이들이 자기 감정과 생각을 말할수있는 질문들을 담았어요.

5. 문제를 겪고 있는 아이를 둔 부모를 위한 전문가의 조언을 담았어요.


사회성을 키우는 감정 수업 2 - 우정


친구랑 놀기 싫어요

파키타 글

마리그리부이유 그림

양아름 옮김 



<친구랑 놀기 싫어요>의 겉표지를 살펴보면서

아이들에게서 흔히 일어나는 상황이기도 하지요.

하지만, 나와 맞지 않다고 하여 무조건 친구랑 놀기 싫다고 하는 건 나쁜것이라고 말하면서

책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했어요.

1권읽었을때, 마이크를 준비 못했다면서 이번에는 마이크를 준비했네요^^

책을 살펴보기전,

이번 주제가 '우정'이라는 것을 알려주면서 우정의 사전적 의미를 함께 적어서 아이들에게 알려줬어요.


미술시간에 루시가 친구들에게 허락도 없이 제멋대로 행동을 해서 친구들이 화가 났어요.

하지만, 루시는 친구들이 자신에게 아기라고 하고 종이에 낙서도 했다면서 루시도 반박을 하자.
선생님은 둘이 화해를 하도록 손을 잡고 서있도록 했지만, 친구가 아니라면서 서로 화해를 하지 않는 아이들. 운동장에서 놀던 아이들도 싸움이 일어나자,

결국에는 선생님도 아이들과 감정수업을 하기로 했어요


아이들은 감정수업에서는 무엇이든 이야기 할 수 있고, 그러고 나면

나빴던 기분이 나아져서 감정수업을 좋아해요.

선생님께 꾸중만 듣고 끝내는 것이 아닌

아이들 자신이 잘못한 것이 무엇인지

친구가 무엇을 잘못한 것인지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아이들 스스로도 반성하는 시간도 갖는 시간이 되는 거 같아요.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친구라는 주제로 여러가지 질문을 던져서

함께 토론을 이끌어 나가요.

제가 아이들에게 선생님의 질문을 던지면

아이들도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해요.

친구란?

서로를 아껴주고 사랑해 주는 사이.

말이 잘 통하는 사이.

나랑 마음이 맞는 사이 등.

친구에 관한 정의를 아이들 생각대로 말해보기도 했어요


또, 선생님도 어린시절 친한 친구가 있었지만, 그 친구가 모든 결정권을 가지고 있었고, 어느날 선생님이 그 친구가 하자는 대로 하고 싶지않다고 말하니 그친구가 선생님과 친구하기 싫었다는 자신의 경험담도 이야기를 해 주셨어요.

친구라면 서로를 배려해야하는 것이지, 일방적으로 명령하는 것은 아니겠지요?


<친구랑 놀기 싫어요>를 통해 우리 아이들에게도 많은 도움을 받고 있어요.

새로운 곳으로 이사를 온지 일주일정도.

앞으로 새로운 학교, 어린이집을 다니면서 새로운 친구들에게 쉽게 다가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좋은 시간을 갖게 되었던거 같아요.


 

감정수업을 하고 나면, 아이들은 확실히 친구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며

이기적인 행동을 보이지 않게 되요.

이런 감정수업을 가정에서도 적용해서 끊임없이 연습해야할 필요가 있겠더라구요.


책속에 나오는 주인공들을 나무젓가락에 붙여서 아이들과 역할극 놀이를 하면서

상대방의 감정, 내 감정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중요한 시간이 되었어요.



학교, 유치원도 아이들에게는 하나의 사회이기에, 친구들과 조화를 이루며 함께 생활해야해요.

그런데, 자기중심적이거나, 감정을 조절하지 못한 행동으로 친구들과 생활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은 사회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니

<사회성을 키우는 감정수업>이 꼭 필요해요.

학교나, 유치원에서 이런 수업을 해주면 좋겠지만,

무엇보다 가정에서도 감정수업을 역할극으로 자주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될 거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