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편의점 2 : 없는 돈을 만들어 내는 은행 자본주의 편의점 2
정지은.이효선 지음, 김미연 그림, 이성환 감수 / 가나출판사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어릴 때는 학교 앞 문방구나 동네 슈퍼를 자주 갔다. 요즘 아이들은 편의점을 자주 간다고 한다. 아이들에게 친근한 장소인 편의점을 기준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자본주의 편의점 1을 재미있게 읽었다. 그 기대감으로 자본주의 편의점 2를 읽기 시작했다.

차례를 살펴보면 은행이 망했다고? 돈돈돈, 돈이 돈을 만든다! 내 금 돌려줘! 특명, 은행원 체험기 네 가지 큰 주제로 이루어진다.

1권에 나온 등장인물이 그대로 나온다. 신상품은 가장 먼저 사야 직성이 풀리는 고금리, 고금리의 친구 오동동, 고금리의 남동생 고이득, 고이득의 라이벌 제수찬, 고이득의 단짝 친구 정하라, 자본주의 편의점 주인 할아버지 조지 워싱턴이 등장한다.

은행에 왜 돈을 맡기냐는 수찬이의 말에 금방이라도 싸울 듯 으르렁거리는 이득이의 모습으로 이야기는 시작한다. 이번 이야기는 은행에 관해 이야기한다.

은행도 망할 수가 있다! 뱅크런~에 대해 이야기를 통해 자세히 설명해 준다. 설명이라고 지루하지 않다. 재미있다. 짧은 만화처럼 그림으로 설명을 더한다. 은행이 돌아가는 원리를 설명해 준다.

은행의 종류와 함께 제3금융권에서 돈을 빌리는 건 위험하니까 조심하라고 알려주는 것도 아이들에게 유익할 듯싶다.

지급 준비율, 예금자 보호법, 명목 소득과 실질 소득 등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설명들이 그림과 함께 자세하게 알려줘서 좋았다.

이번 이야기에서는 이득이가 계속 이야기를 이끌어 갔다. 이득이를 기억해 내야 할 텐데 조마조마 응원하다가, 황금으로 변해버린 이득이가 무슨 일이 생길까 손에 땀을 쥐며 읽었다. 아이들 책인데 어른도 흥미롭게 읽었다.

중앙은행의 설립이 금세공업자로 시작했다는 이야기도 새로웠다. 금고에 있는 금보다 더 많은 금 보관증을 찍어 낸, 금세공업자가 은행의 시작이라고 한다. 금세공업자와 뱅크런에 관한 이야기가 인상 깊었다.

쓰고 남은 돈을 저축하지 말고 저축하고 남은 돈을 써라 -워런 버핏

이번 책을 읽으면서 경제에 무관심했던 나도 많이 배웠다.

은행을 단순히 돈을 맡기는 곳으로 생각했는데,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는 것을 알았다.

처음 듣는 경제용어들이 어렵다고 느껴질 수 있지만, 등장인물들의 이야기 속에서 자세히 설명해 주니 이해하기 쉽고 재미도 있었다. 다음에는 자본주의 편의점에서 어떤 음식을 먹고 새로운 이야기 속으로 떠나게 될까 기대가 된다. 돈을 좋아하는 아이들이 무조건 돈을 쓰기만 하지 말고 경제 활동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배웠으면 좋겠다. 어린이 경제 교육이 필요한 친구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가나 #자본주의편의점2 #미자모서평단 #정지은 #이효선 #김미연 #이성환 #어린이경제교육동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