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를 읽다 - 역사와 삶의 고비마다 고려를 지키고 빛낸 문장들
이혜순 지음 / 섬섬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최근 역사교과서와 역사교육에 대한 논쟁이 많다.

국내의 역사교육의 문제 뿐만 아니라 일본과 중국의 역사왜곡(우리의 입장에서)에 대한 논란 또한 격하다. 올바른 역사교육과 이해는 왜 중요한 것일까?

우리는 왜 바른 역사를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일까?

역사를 왜곡하는 이들은 왜 그토록 왜곡하려고 힘을 쓰는 것일까?

아마도 역사에서 현재와 미래를 살아가는 지혜를 배울 수 있다는 이유도 있겠지만, 각 나라와 민족의 정신문화와 영토에 대한 존재 근거와 자존감을 형성하게 해 주기 때문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거기에다 현대에 와서는 영토와 문화의 확보가 엄청난 경제적 수익을 가져다주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역사는 이미 지나간 일의 기록이기에 보는 사람, 관점에 따라 똑같은 상황도 다르게 해석되어진다. 물론 기록할 당시의 어떤 관점에서 기록하였는가도 중요하겠지만, 현재에서 과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더욱 중요하리라 생각한다.

역사를 기록할 당시는 권력을 가진자의 입장에서 기록하겠지만, 후대에 역사를 해석하는 이는 기록되어진 역사 뿐만 아니라 기록되어지지 않은 숨겨진 역사적 사실들까지 고려하기에 기록 당시와는 다른 해석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고려를 읽다>는 반만년 역사속에서 우리나라의 다른 왕조에 비해 훨씬 덜 알려진 고려시대를 여러 역사적 기록속에 남겨져 있는 그 시대의 글들 - 문학적인 가치가 높은 글부터 정치적인 글, 외교문서, 논설문, 편지, 묘지문, 종교 의례문, 과거시험 문제까지 - 을 통하여 고려시대의 왕과 학자들, 그리고 정치적 상황과 국제적 정세 등의 이해를 시도한 책이다.

6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1장은 왕과 신하의 관계에 관한 12편의 글을, 2장은 국제적인 외교문서 9편을, 3장은 우정에 관한 글 12편을, 4장은 인간의 생에 대한 글 9편을, 5장은 사대부들의 삶과 철학, 사회와 역사인식에 관한 글 20편을, 6장에서는 종교와 학문에 관한 10편의 글을 소개하고 있다.

각 글별로 글쓴이와 시대적 배경을 먼저 설명하고, 원문의 번역과 원문을 함께 수록하여 이해할 수 있게 하였고, 마지막에 전체적인 해설을 넣어 읽는 이로 하여금 역사적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자료가 제한되어 있어서였게지만 아쉽게도 글을 지은 이들이 몇분의 인물들로 제한되어 있다는 것과 이 책을 읽는 나의 지식이 모자라 책에 수록된 원문을 제대로 읽지도 이해하지도 못하는 것이 저자에게 죄송할 뿐이다.

 

고려사는 우리에게는 삼국시대나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비해 친밀도가 많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아마도 그것은 고려시대의 수도가 개성이었고, 현재 개성이 북한지역에 위치하고 있고, 역사적 자료들이 북한쪽에 많기에 그러지 않을까 생각한다.

더하여 드라마나 영화같은 매체에서도 가장 자료가 많은 조선과 많은 유물을 남긴 통일신라를 많이 보여준 영향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지금은 어렵겠지만 통일이 된다면 고려사에 대한 보다 많은 유적 발굴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고려사도 다른 왕조의 역사만큼 중요한 우리의 역사이기에.

이 책 또한 고려사를 이해하는 또 하나의 소중한 자료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