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덕일기 - 오세연의 필름 에세이
오세연 지음 / 이봄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핫한 독립영화 <성덕>의 감독이 쓴 필름 에세이 <성덕일기>

"성공한 덕후가 되고 싶었다. 성공한 덕후가 된 줄 알았다"고 말하는 감독은 "범죄자가 되어버린 스타의 덕후였던 제가 비슷한 경험을 가진 팬들을 찾아 헤매는 블랙 코미디"라고 영화를 소개하곤 한다. 이 책은 영화에 다 담지 못한 감독의 메이킹스토리나 인터뷰들이 담겨있다.

(서평단 지원도서를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함)

책은 크게 3챕터로 나눠져 있다.
1.감독이 덕질했던 과정과 영화를 제작하는 좌충우돌 과정과 심경들
2.영화에 참여한 감독의 덕질메이트들의 인터뷰, 더 많은 사연들, 생각들
3.영화 관객에게 받은 질문에 대한 답변

영화로 다 전하지 못한 얘기들을 책으로 전한다. 영화는 영상으로, 책은 활자로ㅡ 이렇게 양방향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다니 감각이 좋다. 하나를 보면 다른 하나도 보고 싶게 만드는 효과까지!

범죄자가 된 구오빠들(정준영, 승리, 박유천, 조민기까지 많기도 한 남성 연예인)을 좋아했기에 느끼는 수많은 감정들을 마주한다.
성범죄 가해자를 좋아했기에 그에게 그런 힘을 쥐어준 간접적 가해자로서 죄책감을 느끼면서도, 기꺼이 내어준 애정과 믿음 같은 팬의 마음을 짓밟은 그(들)에 대해 분노하고 간접적 피해자라고 울분을 토하기도 한다.
덕후(팬)가 아니었던 나조차도 그들의 마음이 이해가 되고 공감하며 읽었다. 간접적 피해자이자 가해자... 좋아한 게 죄는 아닌데 왜 팬들이 괴로워야하는 걸까.

비록 스타는 몰락했지만 덕질을 하며 팬으로서 행복했고 좋았던 추억은 팬들에게 남아있을 것이다. 각자의 방식으로 받아들이고 치유하고 연대하면서 '그랬었다'고 과거형으로 말하며 성숙해져가는 모습을 볼 수 있어 좋았다.

실패한 덕질 이야기를 태극기부대까지 끌고갈 수도 있었겠지만, 어느 정도 선에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솔직한 개인들의 이야기정도로 마무리 짓는다. 더 깊고 진지하게 끌고갔다면 덕질의 사회현상으로까지 갈 수 있었을 거 같은데. 어찌보면 개인 다큐와 필름에세이로 선을 잘 지킨 셈이다.

팬이란, 덕질이란 무엇일까.
덕질도 '한 번도 안해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해본 사람은 없을 것' 중에 하나다. '휴덕은 있어도 탈덕은 없다'는 말도 있다. 덕질을 쉴 수는 있어도 안 할수는 없다는ㅋㅋ 그만큼 덕질은 경험해본 이들과 뗄 수 없는 행복감을 준다고 본다. 깊이가 깊든 얕든 기간이 길든 짧든 간에 덕후(오타쿠, 마니아, 빠순이 등등) 유전자, 덕질 습관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나는 한번도 뜨겁게 특정인을 좋아해서 '덕후'라고 할 만한 존재가 되어본 적은 없다. 하지만 뭔가 좋아해서 열심히 찾아보고 설레고 즐거웠던 기억이 있다. 나와 같은 그런 경험이 있다면, 다소 전문적인(?) 덕질의 이야기가 담긴 이 책에 공감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또한 팬 문화, 덕후 문화를 몰라서 이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이 책을 보면 조금은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