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 필요한 시간 - 빅뱅에서 다중우주로 가는 초광속 · 초밀착 길 안내서
궤도 지음 / 동아시아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이 필요한 시간은 언제일까?
ㅡ 바로 지금?!

며칠 전 개기월식과 천왕성 엄폐 실시간 유튜브 중계를 찾아봤는데 엄청 많은 이들이 함께였다. 그냥 보는 게 아니라 확대도 해주고 천왕성이 어디에 있는지 얼마나 달에 가까이 가고있는지 보여줘서 이해하기 쉽고 좋았다. 유튜브가 과학을 한층 더 가깝게 만드는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새삼 느낀 계기다.
이 책 《과학이 필요한 시간》 그리고 저자이자 유튜버인 궤도 역시 그러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과학과 일반 대중 사이의 가교 같은.

어려운 과학도 쉽고 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일상적인 언어로 바뀌어 표현해주고 적절한 비유들이나 인용 등도 전작 《궤도의 과학 허세》보다 돋보였다. 책을 읽으며 독자도 성장하고 책을 쓰며 작가로서도 성장하고 있는 걸까.
인공지능과 양자컴퓨터에 대해 1부에서 다뤄서 그런지 시작부터 흥미롭게 읽었다.

소제목들도 매력적이다. 테드 창의 sf소설 '당신 인생의 이야기'를 시간을 주로 다루는 2부의 제목으로 쓰기도 하고 4부 엔트로피 소제목은 무려 '악마는 엔트로피를 입는다'이다. 우주 멸망을 엔트로피로 설명하면서 악마에 비유하고 그걸 또 영화로 가져오는 그런 센스가 참 좋다.

묘사도 놀랄만큼 좋은 부분도 있었다. 우주의 한 장면을 소개하는 부분이었는데 마치 눈에 보일 듯이 상상할 수 있게끔 묘사되어 감탄했다. 이 부분만 보면 과학입문서인지 시인지 소설인지 헷갈릴 것 같다.

"위쪽에 존재하는 젊은 별들이 내뿜는 복사에너지로 인해 먼지와 가스가 아래쪽으로 밀려나면서 마치 거대한 산맥과 같은 모습을 보이는데, 심지어 먼지로 만들어진 봉우리 안쪽까지 자세히 보여서 마치 요람에서 배냇저고리로 꽁꽁 감싸고 있던 아이의 고사리손과 얼굴을 처음 확인하는 것과 같은 환상적인 순간을 선보인다." (149쪽, 우주를 보는 새로운 방법을 준비하는 인류)

과학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리라는 기대는 버리는 것이 옳다. 하지만 어떤 희망, 기적을 위한 노력을 부정할 수는 없다. 이 책을 통해 과학이 널리 대중화되고 과학을 사랑하고 공부하는 이들이 많아지면 조금 더 많은 기적이 일어나지 않을까 싶다.

(동아시아서포터즈 지원도서를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