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이 돌보는 세계 - 취약함을 가능성으로, 공존을 향한 새로운 질서
김창엽 외 지음, 다른몸들 기획 / 동아시아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돌봄이란 무엇일까' 생각해보게 만드는 책이다.

내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짚어주고 내 생각이 얼마나 좁은 식견인지 알게 한다. 그래서 책이 좋고 그런 점에서 이 책이 좋았다.

돌봄이라는 큰 틀 아래서 다양한 소주제(질병, 장애, 노동, 교육 등)에 대해 다양한 사람들이 말한다. 질병 주제에는 질환자나 장애 당사자의 입장과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권리 주제에서 돌봄 노동자의 처우와 우리 사회 시스템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 책은 질병과 장애, 권리ㅡ비교적 개인적으로 시작하여 젠더, 혁명, 탈성장ㅡ사회적이고 광범위한 것으로 차츰 시야를 넓혀간다.

'돌봄'Care은 누구에게나 가까이 있는 일이다. 작게는 질병과 장애지만 아이를 키우는 것도 노인을 돌보는 것도 모두 이 '돌봄'에 속한다. 내 일 아니라고 선 그을 수 있는 게 아니다. 우리는 돌봄없이 살지 못한다.

"우리 모두 장애인이 될 수 있다"라는 가정이 아니라, "우리는 모두 장애인이며, 반드시 장애인이 된다"라는 의미이다.(92쪽)

돌봄노동은 여성과 뗄 수 없는 관계다. 육아, 간병은 모두 여성의 일이라고 여겨지고 현재도 그러하다. 수많은 여성 요양보호사, 여성 간병인. 나를 키운 것도 돌보는 것도, 아픈 할머니를 돌본 것도 여성이다.
돌봄 이야기는 어디에서 시작하든 결국 젠더, 사회 문제로 이어져나간다.

돌봄은 혁명이 되어야 한다.(261쪽)

어떤 전문가, 어떤 사회 서비스가 '짠'하고 단번에 해결해줄 수 없다. 혁명은 모두가 참여할 때 이뤄질 것이다.

미처 몰랐던 이야기도 많고 생각할 것도 많아서 그런가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었다. 하지만 그만큼 내 생각의 폭도 넓어졌기를 바란다.

출판사에 제공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