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개 도시로 읽는 세계사 - 세계 문명을 단숨에 독파하는 역사 이야기 30개 도시로 읽는 시리즈
조 지무쇼 엮음, 최미숙 옮김, 진노 마사후미 감수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과 '들어가는 말'에서 언급하듯이 이 책은 '세계 주요 도시의 역사'라는 익숙하고 흥미로운 출발점에서 세계사 공부를 시작하게끔 도와준다. 주요 도시들이 어떻게 생겨나고 어떻게 지금의 모습이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세계사를 접하고 알아가게 된다. 보통 역사는 시대순으로 나열하는 식인데(왕조순인 기전체나 시간순인 편년체 등) 그렇지 않는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웠다.

이 책은 얕고 넓게, 세계사의 맛을 살짝 보며 흥미를 키워나가는데 딱이다.

하루에 한 도시씩, 30도시를 통해서 세계사의 굵직한 흐름을 모두 파악할 수 있다. (코로나 시국에 여행가고 싶어지는 마음이 깊어지는 부작용이 있음 주의 ㅠㅠ)

뉴욕이나 런던 같은 유명대도시가 아니라 바빌론과 예루살렘을 앞에 배치한 게 의아했었는데 시대적인 순서도 그렇고 종교적인 설명도 가미되면서 이후로 읽어가는데 도움이 되었다.

흥한 도시들의 공통점은 치수사업(물 공급), 도로 정비이다. 모두 다른 곳에서 다른 시기에 생겨나고 혹은 사라졌지만, 비슷한 방식으로 발전해나간다. 현대에 이르러 많은 것들이 추가되었지만 기본적인 것은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다.

세계사를 접하며 늘 아쉬운 부분은 로마제국이나 몽골제국, 아니면 기독교와 같이... 하나가 크게 부흥하여 다른 다양성들을 인정하지 않고 파괴하여 잃어버린 것들이 많다는 사실이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현존했다면 얼마나 많은 고서적들을 접해볼 수 있었을까. 다양성을 존중해야 한다는 건 역사에서도 보여주는 것이다.

작가가 일본인이라 그런지 비유를 일본 지역으로 들어서 좀 아쉬웠다. 번역과정에서 한국의 예시로 바꿨다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예시, '이 공급량은 일본 요코하마시의 2017년도 하루 최대 배수량과 거의 맞먹는다.' 73-74쪽, 로마편 중에서)

이 책을 읽었다고 내가 세계사를 다 알게 된 것은 아니지만, 어렵게만 생각했던 세계사를 조금이라도 가깝고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잘 모른다고 어려워만 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더 열린 마음으로, 깊이 배울 수 있는 디딤돌이 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