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이황, 아들에게 편지를 쓰다 - 개정판
이황 지음, 이장우.전일주 옮김 / 연암서가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루했던 책이다. 아버지가 아들에게 주는 최고의 인생 지침서... 음... 나는 이 의견에 동의할 수 없다. 물론 교훈적인 책임은 맞다. 아버지가 아들에게 주는 편지인데 당연히 교훈에 대한 이야기가 없으면 안되겠지... 더불어 퇴계라는 위인께서 아들에게 준 편지인데... 그런데 이 책은 교훈적 가치보다는 다른 부분이 더 눈에 들어왔다.

 

우리는 보통 퇴계에 대해서 잘 모르거나 오해를 하고 있는 것이 있다. 그가 다소 가난했고, 또 벼슬살이를 싫어했다는 점. 부귀영화에 대해서 초연했다는 점이 그렇다. 물론 맞는 논의도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앞서 말했듯 교훈적 가치보단, 일상생활의 퇴계의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다. 퇴계가 맡아들 준에게 보낸 편지는 굉장히 일상적인 내용들을 많이 썼다. 예를 들면 안부에 대해서, 집안의 농장 경영이나 수확에 대한 부분의 걱정, 그리고 여러 가족 식구들에 대한 이야기, 노비 관리에 대한 내용 등등의 다소 일상적인 내용들로만 편지를 보내고 있었다.

 

다산의 편지가 뭔가 자꾸 타이르고, 압박하고, 반성을 요구하는 그런 느낌이었다면, 퇴계 역시도 그런 부분이 있지만, 다소 일상적 내용이 책의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런 이유로 사실 교훈적 내용이라면 이 책보단 다산의 편지가 더 좋다고 생각했었다.

 

퇴계는 글을 어렵게 쓰기로 유명한 사람이다. 그의 저서는 대부분 어렵다. <성학십도>를 비롯한 고봉과의 편지 내용인 <논사단칠정론> 그리고 <자성록> 등등에서 나오는 그의 글쓰기는 사실 좀 어려운 부분이 있다. 거기다 <논사단칠정론>과 <자성록>의 경우는 둘 다 편지를 엮은 책이지만 주 논의가 학문을 논하고 있는 편지들이라, 내용이 굉장히 어려웠었다.

 

그래서 나는 자식에게도 편지를 굉장히 어렵게 썼겠구나란 생각이 들었는데, 생각보다 굉장히 일상적인 모습을 보였다. 사실 이 책에서 교훈적인 편지도 많지만, 그보다도 퇴계의 실생활의 모습과 그 모습을 통해 조선 중기의 사대부들의 모습도 얼추 짐작할 수 있었다.

 

일단 맡아들 준은 공부를 더럽게 안 했나 보다. 편지를 보면 뭐 과거 시험을 앞두고 한양으로 올라오는 게 늦어서 -_- 시험을 못 본다는 다소 파격적인 내용도 있었다. 퇴계는 그런 아들을 엄청 한심하게 꾸짖고 있었다. 지금 수험생들이 모여서 공부하는 것처럼 퇴계의 아들인 준 역시도 그런 곳에 가서 공부를 했는데, 퇴계의 조언 중 재미있는 것은 '술을 너무 마시지도 말되, 술을 적당히 마셔서 교우 관계에는 신경 쓰라.'라는 부분이다. 보통 퇴계와 같이 깐깐한 사람은 술 마시지 말고 공부하라고 할 것 같은데 퇴계는 이런 부분에서 다소 현실적인 이야기를 아들에게 했다.

 

이런 부분은 편지에 다소 많이 나온다. 벼슬을 못하고 있는 아들을 두고, 스스로는 하야하여 공부를 하고 싶다고 토로하면서도 놀고 있는 아들에게, 벼슬이라는 것은 그래도 꼭 해야 하는 것이라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재미있는 점은 책 초반부 즉 준이 어릴 때는 다소 훈계적이고, 학문을 성취하라는 편지가 많이 나왔는데, 점점 가면 갈수록 그런 글들이 없어진다. 아마도 퇴계 역시도 부족한 자식에 대해서 마음을 많이 비웠구나라는 생각도 들었다.

 

또 재미있는 부분은 퇴계의 모습은 그가 가난할 거라고 생각했는데, 다소 많은 농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아들에게 관리 감독을 지시하는 모습이며, 올해의 수확에 대해서 묻는 모습 등은, 우리가 알고 있던 퇴계의 가난한 선비의 모습은 아니었던 듯싶었다.

 

잔인한 부분도 있었다. 노비들의 기강이 풀어졌을 때, 매질을 해서 바로잡으라는 이야기도 했었고, 이런 부분에서는 우리가 알고 있는 도덕군자의 퇴계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둘째 아들 채가 죽으면서, 유산 상속 문제가 일어났을 때, 퇴계 역시 참담했었다. 그래서 아들에게 권리는 주장하되 치졸해지진 말자는 주장을 하며 분을 삼키는 모습도 있었다.

 

퇴계를 볼 때 학문도 높았고 벼슬도 높아서 편안 일생을 산 것 같지만, 사실 그런 사회적으로 볼 때는 그럴지 몰라도, 개인적인 인생은 비극적인 일들이 많았다. 아들과 처를 먼저 보내는 아픔과, 장자인 준 역시도 몸이 성하지 않아서 고생하는 부분, 그리고 퇴계 스스로도 건강하지 못하였던 점 등을 볼 때 행복했다고 보기엔 어렵다.

 

 다산의 편지에는 다산의 비분강개함이 느껴졌었고, 그런 직설적 표현을 통해 다산의 현실적 어려움의 고뇌를 볼 수 있었지만, 퇴계의 글은 차분함이 있었다. 그런 부분에서 안정적인 사대부의 풍모를 볼 수 있었다.

 

어쨌든 퇴계의 일상적인 모습을 소상하게 볼 수 있으며, 그 시대의 사대부의 삶을 소상하게 볼 수 있는 책이다. 퇴계의 신선한 모습에는 재미있었지만, 책은 대체로 지루했다. 일상이라는 것이 서로 아는 사이끼리는 공감대가 있어서 의미가 있는 법이니깐...

 

교훈을 느끼기에는, 차라리 이 책 보단 정약용의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를 보거나 아니면 퇴계가 손자 안도에게 쓴 편지인 <안도에게 보낸다> 이 책을 추천한다. 아무래도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는 일상적이고 손자에게 보내는 편지는 다소 훈계적이고 교훈적일 수밖에 없다. 퇴계는 살아생전에 아들에게 남긴 편지가 3000통이나 된다고 한다.... 아마도 유실된 편지까지 합치면... 더 하겠지... 그 많은 양의 편지는 세상 모든 아버지가 아들에게 가지는 사랑이라 할 수 있겠다. 결국 이런 사랑을 받은 준은 음서로 관직에 나아갔다. 자신보다 못난 아들이지만, 그래도 아버지의 눈에는 아들이 사랑스러울 수밖에 없었을거다. 모든 부모의 심정이 그러니까, 자식이라는 이유만으로, 부모에게 우리는 무한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 그것은 퇴계와 준도 마찬가지였다.

 

 음서로 관직에 나아간 장성한 아들에게 여전히 퇴계는 관심을 가지고, 아들의 처세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조언을 하고 사랑을 보낸다. 이런 부분에서, 자식이 장성해도 부모의 눈에는 어린아이처럼 보이는... 그런 부분도 읽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