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의 미래 - 최신 인지과학으로 보는 몸의 감각과 뇌의 인식
카라 플라토니 지음, 박지선 옮김, 이정모 감수 / 흐름출판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감각의 미래 - 인지과학, 인류 진화에서의 앞으로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들

 

이 책을 읽어 가며 '인식이란 무엇일까? 감각이란 무엇일까?'라는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아나가고 미래를 열어가는 연구자들의 사례들을 통해 인류 진화에 있어서의 '인지', 즉, 세상을 인식하고 해석한다는 것의 의미와 우리의 경험과 인식의 구성에 대해 즐거운 탐험을 할 수 있었다. 

흔히 우리는 오감을 통해 세상을 인식하지만, 그것은 각자에게 주관적으로 인식된 세계이다. 즉 내가 인식하는 세상과 타인이 인식하는 것은 다르다는 것, 그리고 정보를 우리의 뇌가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과정이 있기에 어찌보면 주관적인 인식만 가능하지,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는 것이 다소 처음에는 모순적인 느낌이기도 했다. 인식 자체의 한계가 있다면 공유될 수 없는 느낌이나 생각을 나눌 수 없다는 기분이 들어서였을지도 모르겠다.

어쨌거나 과학 기자인 저자가 다양한 연구소를 찾아가 다양한 사람들의 여러 연구분야를 3년동안 취재하고 책으로 펴냈기에 현대 인지과학의 모습, 앞으로 인류 진화에 있어서 어떤 변화가 올지에 대해 한걸음 나아가 살펴볼 수 있었다. 

맛을 연구하는 분야에 있어 새로운 맛을 찾아 명명하는 과정은 언어와 인식의 관계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었고, 알츠하이머 환자의 기억을 향기로 기억해낼 수 있도록 해보는 연구와 관련된 프루스투효과 또한 흥미로웠다. 기억을 잃었지만 어딘가에 있을 기억을 관련된 감각을 통해 이끌어낸다....는 건 어쩌면 우리가 특정한 음악, 향기, 장면을 보고 어떤 기억을 떠올리는 것과 같은 과정이리라. 이 밖에도 정말 방대한 사례들이 책 내내 펼쳐진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가 흔히 당연하다고 생각하여 생각해보지 않는 미각, 후각, 시각, 청각, 촉각이 어떤 인지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지와 어떤 식으로 연구되는지 알게되다보니, 보다 인체나 감각에 대한 과학적 감각을 얻게 되었다. 더불어 시간에 대한 감각이라든지, 문화 안에서 형성되는 감정이라는 것, 표정이나 언어도 우리가 환경속에서 형성해 나간 감각이라는 것은 세상을 바라보는 인식을 넓혀준다. 내가 어떤 환경에서 나의 인식을 형성해 나갔으며, 그러한 인식이 나를 어떤 사람으로 만들었는지 생각해보게 되기도 했다. 마지막 장에서의 인간의 감각을 다루는 4차산업혁명 관련 과학연구분야인 가상현실, 증강현실, 새로운 감각에 관한 연구들은 앞으로 사이버 세계를 맞이할 인류에게 어떤 진화가 이뤄날지 예측해보고 상상하도록 해주는 과학적 상상력을 증폭시켜주었다.

감각과 관련되어 다룬 내용들이 방대하면서도 최신 연구자들을 발로 뛰며 만나서 기록한 책이었기에 가장 우선적으로는 인지과학 연구에 대한 갈증들을 해소해 줄 법한 추천도서였으며, 매우 흥미로운 사례들이 가득하여 읽기 즐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