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브루타 미술 교과서 - 창의적인 생각을 열어주는 행복한 시간
권태남 지음 / 라온북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때부터 미술학원과 미술과외를 받아왔던 저는 선생님들께 배웠던 수채화기법표현 풍경구도잡기 등이

떠오르지만 한번도 나의 생각을 끄집어 내는 미술수업을 해본 적이 없는 것 같아요. 

그래서 우리 아이들에게는 기술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미술을 절대 가르치지 않기 위해 

저만의 노력도 많이 해왔답니다. 

나름의 노력을 해왔다고 생각해왔지만 하브루타미술교과서를 읽다보니 더욱 공부가 필요하다는 걸 느끼네요. 


미술의 영역은 드로잉을 하고 채색을 하는 한정적인 분야만을 이야기할 수 없고 쿠킹 클래스라던지 

그림책을 이용한 독서하브루타 등의 확장된 영역을 다루고 있어서 

무척 흥미롭고 재미있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우리가 적용할 수 있도록 하브루타 미술교육에 관한 자세한 방법이 

실려 있어 쉽게 따라해볼 수 있게 해놓았습니다. 




저도 미술학원에서 일을 해보았지만 아이들의 미술교육은 지금도 많은 변화가 없는것 같습니다. 

물론 깨어있는 미술선생님들의 노력으로  미술교육에 창의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수업이 진행되고 있기는 한것 같습니다. 

하지만 일부 진보하지않는 미술교육내에서는 여전히 아이들에게 미술의 기술적인 면을 중요시하며 

기법과 기술을 가르치는 교육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건 사실이죠. 

저자는 아이의 미술 선생님이 사람의 피부색을 칠할때 살구색을 칠하라고 하고 눈코입은 이렇게 그리는거야 라고 알려주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 어떤 선생님들은 나비 꽃 해 를 그려주면서 이렇게 그리는거야 라고 말하기도 하죠.

저도 주위에서 그런 모습을 너무나 많이 봐 왔기 때문에 우리 아이들에게는 절대 그리는 법을 알려주지않았어요.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는 모습, 표현하고 싶은 모습으로 그리도록 유도해주었습니다. 

왜 아이들에게 자꾸 그리는 방법을 알려주는 걸까요? 

저자의 마음이 너무 제 마음같아서 단숨에 하브루타 미술교과서 책읽기에 푹빠져버렸습니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미술교육은 외국의 미술과는 달리 사물의 모습을 똑같이 따라그리는 교육이 주가 된다는 

기사를 예전 미술잡지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그 기사를 본 게 고등학교때였으니까  거의 20년전이네요. 

우리나라의 미술교육은 일본의 미술교육을 따라 시작한 것이 많기때문에 

비슷한 점이 많다고합니다. 기술적인 면을 중시하는 미술교육이라는 거죠. 



우리나라의 수능처럼 미술교육도 미대를 가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표현력을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하기 때문에 중학교때부터 미술기법만 열심히 반복하며 배울 수밖에 없기는 합니다. 

하지만 미술교육이 전반적으로 바뀌지않는다고 해서 어린 아이들의 미술교육부터 

똑같이 기술적인 측면만 강조한다면 아이들의 창의력발달의 기회를 짓밟는 것이나 마찬가지겠지요. 

하브루타 미술교과서에는 저자의 하브루타 미술교육에 대한 생각과 필요성 실제 사례등이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그림에 자신이 없었던 아이는 모든 사물을 작게 표현하지요. 

그런 아이가 하브루타 수업 4개월만에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한 작품은 무척 놀라웠습니다.

4개월의 짧은 기간동안 아이의 자신감이 향상된 것을 그림으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림에서 자유롭고 행복감을 느끼는 아이의 마음까지 느껴질 정도였어요.



초등학교때부터 미술학원과 미술과외를 받아왔던 저는 선생님들께 배웠던 수채화기법표현 풍경구도잡기 등이

떠오르지만 한번도 나의 생각을 끄집어 내는 미술수업을 해본 적이 없는 것 같아요. 

그래서 우리 아이들에게는 기술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미술을 절대 가르치지 않기 위해 

저만의 노력도 많이 해왔답니다. 

나름의 노력을 해왔다고 생각해왔지만 하브루타미술교과서를 읽다보니 더욱 공부가 필요하다는 걸 느끼네요. 


미술의 영역은 드로잉을 하고 채색을 하는 한정적인 분야만을 이야기할 수 없고 쿠킹 클래스라던지 

그림책을 이용한 독서하브루타 등의 확장된 영역을 다루고 있어서 

무척 흥미롭고 재미있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우리가 적용할 수 있도록 하브루타 미술교육에 관한 자세한 방법이 

실려 있어 쉽게 따라해볼 수 있게 해놓았습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우리 아이들은 많은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학교를 가는 대신 컴퓨터를 켜고 온라인 수업을 하며 친구들과 선생님을 만납니다. 

이런 급변하는 사회에 발맞춰 우리 미술교육도 하브루타 미술교과서에 나오는 것처럼 

다양한 방법과 생각들을 나누며 아이들의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나갈때인 것 같습니다. 


우리 아이를 미래 인재로 키우는 방법을 미술교육에서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