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령화 가족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2월
평점 :
내가 마지막으로(?) 누군가를 사랑한 게 언제였을까. 사랑이란 단어가 생경하게 느껴진다면……. 천명관의 신작소설 <고령화 가족>은 진정한 사랑을 찾아가는 한 막장 가족의 초콜릿상자와 같은 인생에 대한 이야기이다.
배신자의 낙인이 찍힌, 충무로의 낭인으로 떠도는 영화감독 나(오인모)는 선택의 기로에 서 있었다. 낭떠러지 끝에서 몸을 날리느냐, 아니면(죽기보다 싫지만)엄마의 집에 얹혀사느냐.
만약 내가 그였다면 어느 쪽을 선택했을까.
인모는 낡고 종이가 누렇게 변색된 헤밍웨이 전집을 읽으며 엄마의 집에 얹혀살게 된다. 그 후 이혼한 여동생 미연과 조카 민경까지, 거기에 삼 년째 눌어붙어 있는 전과 5범의 형 한모(오함마), 이렇게 엉겁결에 재구성된 가족의 평균 나이는 사십구 세였다. 언젠가부터 엄마에게 활기가 느껴졌고 고기가 빠짐없이 상 위에 올라왔다. 이 대목에서 엄마가 하는 말은 의미심장하다.
- 사람은 어려울수록 잘 먹어야 된다. (p. 59)
이는 바로 엄마의 마음일 것이다. 세상에 나가 무참히 깨지고 돌아온 자식들에게 다시 그 세상과 맞서 싸울 힘을 주기 위해 질리도록 고기를 해 먹이는 모정은 우리에게 감동을 선사한다. 아무리 마이너리그 중의 마이너리그, 인생의 패배자들만 모아놓은 가족이라고 할지라도 가족은 소중한 것이며 어머니에게 있어 자식은 모두 다 안쓰럽고 귀중한 존재일 수밖에 없다.
천명관의 두 번째 장편소설인 <고령화 가족>은 엄마를 위한 소설이기도 하다. ‘엄마’하면 바로 떠오르는 소설이 하나 있다. 그것은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이다. 두 작품 모두 가족과 어머니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지만 바라보는 시선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엄마를 부탁해>가 전통적인 가족, 어머니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면 이 책은 좀 더 현실적이고 파격적인 가족상을 보여준다.(마치 한 편의 블랙 코미디 영화를 보는 느낌이다.)
그야말로 삼류 막장드라마와 비슷한 장치도 소설 곳곳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독자들에게 어려움을 주지 않는다. 중요한 점은 불길하고 우울한 유머의 끝에 ‘희망’이라는 목적지가 있다는 사실이다. 흡사 판도라의 상자처럼 말이다.
이 작품 속 인물들은 모두 다 사연을 갖고 있다. 출생의 비밀을 갖고 있는 형, 성질 좀 있는 조카, 과거를 알 수 없는 미용사, 마지막 사랑에 불을 지피는 엄마 등등……. 작가가 어느 인터뷰에서 한 말처럼 해체되고 또한 뒤섞인 이 인물들을 보며 우리는 웃기도 하고 울기도 할 것이다. 드라마를 보며 눈물을 흘리고 때로는 박장대소하는 시청자마냥. 소설의 인물들은 현실 속 우리들의 모습을 반영한다.
삶에 있어서 사랑이 중요한 요소임은 누구나 다 알고 있다. 그러나 누군가를 진정으로 사랑하고 있는가? 하는 질문을 받는다면 어떤 말을 할 수 있을 것인가. 우리의 주인공 ‘나’는 이런 결론을 내린다.
그날 밤 나는 옆에서 오함마가 코 고는 소리를 들으며 내가 마지막으로 사랑한 게 언제였을까 생각해보았지만 마치 누군가를 단 한 번도 사랑해본 적이 없는 사람처럼 사랑이란 단어가 낯선 외국어처럼 생경하게 느껴졌다. 그래, 마침내 나는 괴물이 되고야 말았구나! 인생에서 아무런 의미도 찾지 못하고 술에 찌들어 사는 동안 어느 틈엔가 메마르고 사랑을 믿지 않는 괴물……. 그게 바로 마흔여덟에 발견한 나의 모습이었다. (p. 91~92)
최악의 사태를 뜻하는 스페인어 ‘살라오’ 영원히 해독되지 않을 암호가 남아 있어도, 집구석에 멀쩡한 사람이 없어 보여도 정말 최악의 사태는 아니다. 가족과 희망, 그리고 나를 생각해주는 사람이 있는 한 그 어떤 고난도 헤쳐 나갈 수 있다. 천명관을 희대의 이야기꾼이라고 하는 이유는 아마도 가족, 희망 같은 평범한 주제를 평범하지 않게 서술하는 힘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고령화 가족>을 읽는 동안 들었다. 시나리오를 썼던 작가 본인의 경험 때문인지 앞에서도 언급했듯 이 소설은 영화를 보는 것과 비슷한 느낌을 주고 있다.
(각 장의 제목들 중에는 영화제목도 있다.)
이 <고령화 가족>은 복잡하고 미묘하다. 인상적인 부분이 많지만 가장 눈길이 가는 부분은 거의 마지막 부분이다.
나는 언제나 목표가 앞에 있다고 생각하며 살았다. 그 이외의 모든 것은 다 과정이고 임시라고 여겼고 나의 진짜 삶은 언제나 미래에 있을 거라고 믿었다. 그 결과 나에게 남은 것은 부서진 희망의 흔적뿐이었다. 하지만 나는 헤밍웨이처럼 자살을 택하진 않을 것이다. 초라하면 초라한 대로 지질하면 지질한 대로 내게 허용된 삶을 살아갈 것이다. 내게 남겨진 상처를 지우려고 애쓰거나 과거를 잊으려고 노력하지도 않을 것이다. 아무도 기억하지 않겠지만 그것이 곧 나의 삶이고 나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p. 286)
흔히들 삶을 연극에 비유하곤 한다. 삶이 연극이라면 우리 각자는 주연배우인 셈이다. 그 누구도 나를 대신할 수 없다. 나는, 우리는 삶이라는 거대한 연극을 어떻게 이끌어갈 것인가.